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엄마를 두 번 울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병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부모로서 아이에게 병을 물려주는 것만큼 슬픈 일이 있을까.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은 심지어 어머니의 DNA를 통해서만 유전되는 잔인한 유전병이다. 신 ... 이렇게 태어난 ‘세 부모 아이’조차도 유전병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또 한 번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마르텐 슈미트는 처녀자리에 위치한 3C 273이라는 전파광원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이 방출선이 사실 적색편이에 의해 긴 파장으로 크게 치우친 수소원자의 방출선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이 발견을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적색편이는 물체가 내는 빛의 파장이 늘어나 보이는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번역됐어요. 실제 삶을 꾸려가는, 살아있는 주체인 생존 기증자를 감춰버리는 결과를 낳았죠.”하대청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말했다. 과학사회학자인 그는 몇 년 전부터 국내 장기기증의 윤리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건강에 아무 이상이 없던 사람들이 오직 수혜자를 위해 큰 ...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신기해 하더군요. 나중에는 그런가 보다 하는 눈치였지만요.”그는 그간의 비거 연구 결과를 모아 5월 말 ‘조선의 비행기, 다시 하늘을 날다’를 펴냈다. 책의 백미는 역시 항공공학자이자 설계자인 이 씨가 좌충우돌하며 비거 모형을 복원하는 과정이다. 논증 과정이 꽤 꼼꼼하고 기발해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뻔했을 것이다. 2005년 신경진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국인 592명의 하플로그룹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그룹은 D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긴다. 공기가 빠르게 흐르는 날개 위가 저기압, 느리게 흐르는 아래는 고기압이다. 그 결과 고기압의 공기가 저기압으로 이동하려는 현상 때문에 아래쪽의 공기가 날개를 따라 이동하고, 날개 끝에서 회전하려는 힘으로 바뀌어 회오리친다. 그런데 날개를 샤크렛 모양으로 만들어 공기의 움직임을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산사태가 자주 발행하는 지질 종류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기존 산사태 사고를 분석한 결과 편마암과 화강암, 점토암(이암)으로 이뤄진 지역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지질 종류별로 관측 데이터를 축적하고, 실험실에서 토양별로 인공강우를 뿌려 어떤 조건에서 산사태가 나는지를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09년 2월부터 10월까지 내린 9번의 강우와 5번의 폭설 샘플을 얻었다. 14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박테리아 67종을 찾아냈는데, 이들 중 대다수는 얼음이 어는 데 도움을 주는 단백질(INA, Ice Nucleation Active protein) 유전자를 가진 슈도모나스 속의 박테리아였다.INA는 그람음성균, 예컨대 슈도모나스 속, ...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같은 능력을 갖고 있는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동물 90종의 망막 세포를 분석했지요.그 결과 개, 늑대, 곰, 오랑우탄 같은 포유류 동물의 눈 안에 자기장을 감지하는 ‘크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반면 호랑이나 사자 같은 고양이과 동물들은 이를 갖고 있지 않은 ... ...
이전5355365375385395405415425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