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깊은 곳에서 만들어진 에클로자이트가 지표 쪽으로 올라올 때 각섬암으로 바뀌었다고
알
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류석 각섬암 역시 초고압 조건을 경험했을 가능성이 있다. 주목할 점은 우리나라 고압 각섬암의 생성 시기는 약 2억3천만-2억5천만년 전으로 밝혀졌다는 것이다. 중국의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올라와 있는 것은 동해가 좁아지고 있다는 증거다. 정확하게 언제 동해가 사라질지는
알
수 없지만 바다로서 동해는 없어지고 그 흔적만이 남게 될 것이다.이제 다시 샷스키와의 충돌사건으로 돌아오자. 이 충돌은 일본과 동해뿐 아니라 한반도의 땅덩어리도 흔들어놓을 정도로 강력하다. 이 때문에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때문이다.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에 걸린다는 사실을 우리선조들은 아마도 오래전부터
알
고 있었던 것같다.이처럼 솥은 선조들이 금속을 어떻게 실생활에 과학적으로 활용했는지 보여주는 좋은 민간사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현대 문명의 이기인 전기밥솥과 압력밥솥에 밀려나는 신세로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감수분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
면 염색체 위의 특정유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에 있는 두틈한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자신의 배우자의 모습을 TV 속 연예인과 비교하면 초라해 보인다는 얘기다.독일의 미술가
알
프레히트 뒤러는 더 아름다워질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 아무리 뛰어난 외모를 지닌 사람이라도 흠을 찾으려고 하면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한가지 사실을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Conferences on Science and World Affairs)의 산하기구다 퍼그워시 회의는 1957년 버트런드 러셀과
알
버트 아인슈타인 등 핵무기 폐기를 촉구하는 일단의 과학자들이 서명운동을 시작하면서 만들어졌다 퍼그워시란 이름은 첫 모임이 열린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의 작은 마을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이그 노벨상은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심리를 정확하게 포착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소비자 자신도 모르는 속마음까지
알
아내 판매 전략을 짜야 하는 본격 뉴로마케팅 경쟁시대가 멀지 않았다 ... ...
만물의 원리와 기원을
알
려주는 howstuffworks.com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대학원에 다니며 돌 지난 아이를 둔 학생엄마가 운영하는 ‘지렁이랑 놀자’ 사이트에서
알
려주는 정보다. 지렁이 사진을 모아놓은 ‘지렁이 자료’ 에는 호주에서 잡힌 1m가 넘는 지렁이, 지렁이
알
(사진), 지렁이가 먹기 전의 흙과 먹은 뒤 흙 등을 볼 수 있다. 평소 지렁이를 꺼려했다면 ‘지렁이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갈 때는 이코노미 클래스에 여러 도시를 거쳐가는 비행기를 골라 탔다는 데서 잘
알
수 있다. 현지에서는 40달러가 안되는 허름한 호텔에서 4명이 함께 지내며 라면과 즉석 밥으로 하루 두끼를 때웠다고 한다.황 교수는 그렇게 아껴 모은 돈으로 체류 마지막날 근사한 레스토랑에서 세계적인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연구가인 파커 교수는 “이 무지개색의 생물학적 기능은 아직 모르지만, 아마도 서로를
알
아보거나 짝짓기하는데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생명체들은 언제부터 이처럼 화려한 광구조를 지니게 됐을까. 파커 교수는 약 5억년 전 있었던 캄브리아 대폭발에 광구조가 관여돼있다고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