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높아진다. 김규홍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공기 흡입구의 온도는 부분적으로
약
3000℃가 된다”며 “현재 장시간 이런 온도를 견디는 구조물은 없다”고 말했다.이에 대한 해결책은 없을까. 강상훈 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연료를 벽면 내부에 흘리는 ‘재생냉각법’으로 엔진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기존의 현대의학적 치료 방법을 전면 부정한다거나 아들을 낳는 한
약
을 지을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은 과학적으로 반박하기 이전에 상식적으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게다가 의사와 간호사 자격시험 문제는 공개되는 반면 한의사 자격시험 문제는 비공개다. 한의학이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각국의 기상청 또는 세계기상기구(WMO)에 보내주는 자발적인 프로그램이다. 일본은 현재
약
500대 정도가 VOS에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33대로 매우 미비하다. 하루에도 대형 상선이 수십 대씩 드나드는 세계 11위의 무역국으로서 부끄러운 참여율이다. 민간과 대형 상선이 VOS에 적극적으로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관측한다고 하면, 목성과 태양의 반지름 차이가
약
1/10이기 때문에 태양의 밝기는
약
1/100, 즉 1% 정도 변화가 나타난다.지구가 태양을 가리면 이보다 훨씬 적은 0.008% 정도만 밝기가 변한다. 이 방법으로는 별인지 행성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인 질량을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시선속도 관측을 추가하면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으로 난소에서 흡인한 뒤, 시험관 안에서 아빠(브라운 씨)의 정자와 체외수정 시켰다.
약
48시간이 흐른 뒤 다시 엄마의 자궁에 수정란을 착상시켜 임신을 시켰다. 그 후 제왕절개수술로 2.6kg의 루이스가 탄생했다. 건강하게 자란 루이스는 2004년 결혼하고 3년 뒤 자연분만으로 아들을 낳았다. 시험관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피부 그리고 어두운 색의 눈이 된다. 마지막으로 금발과 관련된 TPCN2 유전자가 있다. 만
약
이 유전자의 484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에서 류신으로, 734번째 아미노산이 글라이신에서 글루타믹산으로 바뀐 사람은 금발이 된다. 지난해 소녀시대의 제시카가 나온 뮤지컬 ‘금발이 너무해’의 실제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각각 단맛과 감칠맛 수용체의 일부였던 셈이다. 추가 연구결과 미뢰의 세포 가운데
약
30%에서 T1R3가 발현되고 그 중에서 일부는 T1R1이, 일부는 T1R2가 발현했다. 예상대로 한 세포에서 T1R1과 T1R2가 동시에 발현하지는 않았다. 단맛과 감칠맛 정보는 별도의 경로로 미각중추에 전달돼야 하기 때문이다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최근 연구하고 있는 ‘플라즈모닉 소용돌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면 빛을
약
1000배 강하게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핫스폿의 크기가 작고 빛이 강하면 분해능이 높아집니다. 분자 크기의 물질을 구분해낼 수 있는 정밀 센서를 만드는 데에 응용할 수 있지요.”최근 이 교수는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좋은 매개체다. 따라서 태풍이 많이 발생한 해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력이 대체로
약
해져서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다. 반대로 태풍이 적게 발생하면 저위도 지역의 열에너지가 시베리아 기단까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차갑게 발달한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평년보다 추운 겨울 날씨가 될 수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찬드라세카가 유학을 떠나는 배 위에서 계산한 값이 바로 이것이다. 답은 태양질량의
약
1.4배로, 이 값은 찬드라세카 한계(Chandrasekhar limit)로 불린다. 별의 질량이 찬드라세카 한계인 태양질량의 1.4배보다 작으면 백색 왜성으로 최후를 맞지만, 이보다 질량이 크면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생을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