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우리 지구는 생명의 낙원입니다.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고 공기도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그림에서처럼 우주 밖에서 태평양 부분을 보면 육지는 거의 보이지 않고 바다만 보인답니다. 공기는 지구 밖 우주공간으로부터 들어오는 우리 몸에 해로운 자외선이나 엑스선 같은 빛도 대부분 차단해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천체망원경으로 보면 토성의 고리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지구에서 보면 고리가 두 개처럼 보이고 그 사이에 까만 틈이 있답니다. 이 틈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카시니가 발견했습니다. 최근 토성 탐사선의 이름을 카시니라고 지은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는 두 개가 아니라 ... ...
현대 과학으로도 풀 수 없는 신비한 ‘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넣었다면 뼈의 주성분인 인이 종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1998년 ‘포항산업 과학
연구원
’이 성덕대왕 신종의 성분을 분석을 분석한 결과 인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 결과대로라면 아기를 넣었다는 전설은 지어 낸 이야기가 되지요.하지만 인이 나오지 않은 것은 종을 만들 때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이 만화를 보고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말이 달리면 말꼬리는 뒤쪽으로 뻗지만 혜성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혜성의 꼬리는 언제나 혜성의 운동방향 반대편으로 뻗는 것이 아닙니다. 혜성의 꼬리는 항상 해의 방향 반대쪽으로 뻗는답니다. 이것은 혜성의 꼬리를 이루는 물질들이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제기된 의문들은 모두 황 교수팀이 명확한 사실을 아직 밝히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원
난자 기증이나 금전적 보상이 있었다면 시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합당한 근거로 의혹을 풀어야 한다. 진실이 없으면 의혹은 커질 뿐이다. 자칫 연구성과마저 빛바랠 수 있다.황 교수팀은 11월 23~24일경 입장을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술에 취해 ‘필름이 끊긴’ 경우나 잠을 자고 있을 때도 닫히죠.”2001년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에서 일하던 그는 세포 내 이온 통로인 ‘T형 칼슘 채널’이 의식 차단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생쥐에서 T형 칼슘 채널을 제거하자 감각 신호 관문인 시상핵에서 통증신호를 차단하지 못해 계속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化石巨象)1927~ 미국의 생화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립보건
연구원
(NIH)에 들어갔다1961년에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성공하여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협력하여 64가지 트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그것을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등 대상에 따라 물리를 가르치는 접근 방식이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서울대 교육종합
연구원
장경애 박사는 “수학이 필요 없는 대상에게는 수학 없는 물리를, 과학적 마인드가 필요한 곳에는 과학에 흥미를 줘 어렵지 않게 물리를 즐길 수 있도록, 물리를 즐기는 대상에겐 고급 물리를 제대로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우리를 높게 평가하고 있답니다. 모두가 열악한 환경에서도 묵묵히 따라 와준
연구원
들 덕분입니다.”1년의 반은 낮, 반은 밤인 땅. 대낮에는 세상이 온통 하얘 거의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갑자기 몰아치는 눈 폭풍이 일상인 하얀 대륙에 쏙 빠져 버린 한 청년 과학도는 어느새 중년의 과학자가 됐다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않는다는 것을 발견한 후 뉴욕 브루클린에 있는 코글랜드연구소에서 세균학과 면역학
연구원
과 강사로 일했다. 1914년 록펠러의학연구소의 루퍼스 콜은 에이버리의 연구에 깊은 인상을 받아 자신의 연구소 폐렴연구팀에 초청했다. 이후 록펠러의학연구소 연구실에서 알폰스 도체스. 콜린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