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이라는 현상을 낳게 된다는 것이다.이렇게 보면 1929년에서 1932년에 걸쳐 미국의 천문
학자
허블(Hubble)에 의해 발견된 우주팽창 현상이야말로 우주내의 엔트로피 증가의 관측적 검증인 것이다. 우주는 스스로 그의 궁극적인 종말점으로 진화해간다. 엔트로피가 가장 증가된 상태, 즉 모든 물질의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되면 노화한다는 개념은 배격된 지 오래다. 그러나 바이즈만(Weismann)을 비롯한 많은
학자
들에 의하여 공격당한 부활설의 중심 개념은 아직 살아 있다.유성생식형이 병균에 강한 인자형을 가진 후손을 계속하여 만들어내고 손상받은 DNA가 성을 통하여 치유되며 성적으로 번식한 잡초의 꽃대가 1.5배 더 ... ...
화학 - 삼투현상, 모세관 현상과 다르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적합한 조건이 형성돼 있음을 인식했다.한편 삼투압의 문제는 식물
학자
와 생리
학자
의 주의를 끌었다. 이들은 이 현상이 세포조직의 생리현상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생각했다. 드 브리스는 식물이 시드는 이유를 계통적으로 연구하고 있었다. 식물 세포는 보통물에서는 부풀고, 진한 염류의 ... ...
6. 일부일처 가족제 최선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생활연구는 인간의 성과 가족의 기원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미국의 인류
학자
헬렌 피셔는 독특한 가족과 결혼에 대한 해석으로 미국과 일본 등지에서 성가를 얻고 있다. 그의 저서는 국내에도 '성과 계급'이란 제목으로 소개돼 있다. 그의 가족과 결혼의 기원을 바라보는 입장을 중심으로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충격적이지 않을 수 없다. 마음의 자식은 순전히 상상력의 소산이긴 하지만 적지않은
학자
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이를테면 인공지능 이론의 선구자인 미국의 마빈 민스키교수는 과학 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94년 10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나노기술을 사용하여 뇌를 기계로 대치할 수 있을 ... ...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물린 온도계에 비유될 수 있다는 설이다. 이 설은 1975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의 행동
학자
아모츠 자하비(Amotz Zahavi)의 '장애설'(handicap theory)로까지 극단적으로 진화했다.그는 공작을 대상으로 설명하며 장식꼬리는 수공작에게 방해물이라는 바로 그 사실이 암공작이 짝을 선택하는 요소로서 보다 ... ...
한국의 새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정보를 제공하는 CD-ROM 타이틀 '한국의 새'가 가지는 의미는 특별하다.'한국의 새'는 조류
학자
윤무부교수가 소장한 2백41종의 새 정보를 바탕으로 문자는 물론, 사진 비디오 오디오 등을 총망라해 멀티미디어 자료로 만든 것이다. 수록자료는 새 2백 14종을 비롯한 총 5백58개의 사진, 전국에서 촬영한 16 ... ...
곤충 연구하며 자연의 신비 캔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곤충
학자
가 되겠다는 생각은 전혀 없었다. 그러던 것이 타의반 자의반으로 오늘날 곤충
학자
가 되고 말았다.8·15광복을 맞아 공부를 더하기 위해 임업시험장을 찾았을 때다. 초대 시험장장(試驗場長)이신 현신규박사께서 우리나라에는 해충을 연구하는 사람이 없으니 그것을 맡아달라며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오늘날 우리가 원의 각도를 3백60˚로 한 것은 여기서 비롯됐다. 바빌로니아의 수
학자
들은 컴퍼스로 원을 그리고 그 원둘레를 반지름으로 차례차례 잘라 나가면 6번째에는 원래 위치에 돌아오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그림4).이 사실은 360˚÷6=60˚라는 수를 매우 중요한 수로 여기게 한다.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뼈와는 다른 모양으로 배열된 뼈를 이용하여 펭귄처럼 걸었다는 것이다. 영국의 고생물
학자
사이에 널리 퍼진 또다른 의견은 익룡의 뒷다리가 어색하게 뻗쳐 있었으며 이것이 익룡으로 하여금 기어다니게 했으리라는 것이다."그는 이 논쟁에 대해 아직 판정을 내리지 않았다. 새로운 익룡의 화석과 ... ...
이전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