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d라이브러리
"
책임
"(으)로 총 1,40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외층, 제3세계 구하는 제품 개발해요”
과학동아
l
200912
차지한 ‘불소제거장치’ 아이디어도 이 아카데미에서 얻었다. 이번 대회에서 실무
책임
을 맡은 한밭대 화학공학과 홍성욱 교수는 “실제로 대회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설문 조사를 해보면 전체의 절반은 우연한 계기에 대회 준비를 시작한다”고 말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대회에서 보여준 ... ...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
과학동아
l
200912
이야기가 오갔다. 지난 4월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연구센터의 김홍곤
책임
연구원이 강사로 초빙돼 ‘에너지 생산 청정기술,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미래의 청정기술과 에너지에 대해 강연했다.하반기에는 사회적인 이슈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지난 9월에는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12
보유하게 됐다. 이번에 등재가 결정된 동의보감은 1613년 초판본이다. 편찬 총
책임
자인 허준(許浚 : 1539~ 1615년)이 직접 간행에 참여해 완성한 이 초판 완질 어제본(御製本)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돼 있다. 유네스코가 동의보감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한 까닭은 동의보감이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11
현재 진행 중인 가장 성공적이고 대중적인 세티(SETI, 외계 지적생명체 탐색) 프로젝트는 무엇일까. 전 세계 누리꾼들이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PC)에서 남는 전산자원을 원격으로 제공해 관측자료 분석에 직접 참여하는 ‘세티앳홈(SETI@Home)’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엔 한국 사람도 많이 참여하고 있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11
김현섭 박사가 누군가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해양연 유찬민 박사로 하와이 탐사의
책임
자다. 임무교대의 현장인 셈이다.“저희는 해저 퇴적물을 채취했습니다. 돌아가서 시료를 분석하는 일이 남았죠.”유 박사를 따라 웨트랩(wet lab)에 들어가자 해저 퇴적물 시료가 담긴 투명 아크릴관이 즐비하다.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11
급격하게 기온이 떨어진다. 즉 중간권은대기 중에서 가장 차가운 층이다.AIM 연구의 총
책임
자였던 미국 햄프턴대의 제임스러셀 교수는“중간권에서 기온이 예전보다 떨어진 것이 야광운이 예전보다 늘어난 타당한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지표면에서 수십km 높이에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
과학동아
l
200911
때문이다. 그는 한국에 오기 전 크로아티아에서 1년간 기상청 현대화 계획의 컨설팅
책임
자로 있었다. “자신의 경력을 빛낼 사람들은 이곳에서 함께 일할 동료들”이라고 말하는 크로포드 단장은 이미 또 다른 경력을 만들어낼 채비를 모두 끝마친 듯 보였다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왼쪽에 있다. 신제품을 설명하기 위해 내한한 개발자 일본 후지필름의 후지모토 신이치
책임
연구원은 “3D 카메라 기술의 핵심은 사람의 뇌에 해당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이라며 “2개의 2차원 이미지를 합성해 3차원 이미지를 만들어낸다”고 말했다. 실제로 후지모토 연구원의 사진을 찍고 난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10
고체뿐 아니라 액체 입자까지 약 80%를 거를 수 있다.한국 3M 산업안전연구그룹의 이민철
책임
연구원은“고체 입자를 95% 걸러내는 수준이라면 웬만큼 액체도 걸러낸다고 볼 수 있다”며“고체와 액체를 거르는 평균적인 능력으로 봤을 때 두 제품의 성능은 서로 비슷하다”고 설명했다.우리나라도 ... ...
달 알고 보니 '얼음 공주'
과학동아
l
200910
온도에서는 얼음이나 다른 휘발성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디바이너의
책임
연구원이면서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 행성과학과에 재직 중인 데이비드 페이지 교수는 “영구적으로 그늘 져 있는 이 지역에서는 낮 동안에도 영하 238℃ 이하의 낮은 온도가 기록됐다”며“이는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