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홀
큰호울
담화실
d라이브러리
"
큰방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그
과학동아
l
199909
고등학교에서는 지수함수를 배우고 로그함수를 배운다. 하지만 그 탄생을 보면 로그함수가 형님뻘이다. 수학 시간에만 배운 것으로 기억되는 로그함수를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보자.고등 학교에서 배우는 여러 가지 종류의 함수 중에 로그 함수가 있다. 계산 도구로서 로그의 힘은 곱셈과 나눗셈을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09
연구센터 이름을 지을 때 ‘한국’이나 ‘국제’와 같은 말을 붙이는 것이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관습이다. 이왕이면 다소 거창한 이름이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준다는 인식 탓이다. 하지만 경기의약연구센터는 다르다. 연구원들은 ‘경기도’라는 지방자치단체의 이름이 붙은 것을 오히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
과학동아
l
199905
오랜 세월 동안 이땅에 뿌리내리고 살아온 우리 조상들은 이땅의 풍토에 가장 알맞는 건축을 이룩했다. 전통 건축을 애정으로 바라보면 조상들의 슬기와 과학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 건축에 숨은 기하학, 천문학, 수학을 찾아보자.건축은 흔히 기술과 예술의 결합체라 한다. 우선 건축은 외부 ... ...
마음의 괴로움이 병을 부른다 '심신의학'
과학동아
l
199904
몸에 별다른 이상이 없는데도 참을 수 없는 통증과 만성피로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명의를 찾아 병원을 돌아다니고 갖가지 명약을 먹어도 증상이 호전될 기미가 없다. 많은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인 괴로움 때문이다.“가슴이 답답한데요.” “소화가 안되고 속이 더부룩해요.” “배가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완연한 봄기운이 감도는 4월. 야외로 카메라를 들고 나가 촬영하는 일이 많아진다. 그런데 어떤 필름을 고르는게 좋을까. 자동카메라일지라도 보다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필름을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당신은 버튼을 누르시오. 나머지는 우리가 맡겠습니다.” 1888년 미국의 코닥사가 처음 ... ...
현대판 '열려라 참깨' 염력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03
마음으로 물체를 움직이거나 금속을 구부리는 능력인 염력. 과연 생각만으로 채널을 돌리고 문을 열 수 있을까. 아니면 염력은 한낱 속임수에 불과한가.한밤중이었다. 바울과 실라는 기도하면서 하느님을 찬미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그들을 묶은 쇠사슬이 풀리고 감옥 문이 열렸다(사도행전 16:25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03
물질을 수송하고 신호를 전달하는 세포막, 눈을 보호하면서 고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막들, 그리고 온몸을 둘러싼 피부에 이르기까지 우리 몸에 자리잡은 막의 본모습을 살펴본다.수십 조개의 세포로 이뤄졌다는 인간의 몸 속을 들여다 보면 참으로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각각의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03
과녁을 향해 쏘아진 화살을 상상해보자. 화살은 과녁까지의 거리의 반을 지나고, 남은 거리의 반을 지나고, 또 남은 거리의 반을 지나고... 과녁을 향해 날아간다. 어떤 순간에도 화살과 과녁의 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화살은 결코 과녁에 도달할 수 없지 않을까? 선분을 긋는데 처음에는 10cm를, 연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02
텔레파시, 투시, 그리고 예지. 오감 이외의 수단을 이용해 외부의 정보를 얻는 능력이다. 사람은 과연 먼 곳에서 벌어지는 일을 '감으로' 알아낼 수 있을까. 미래의 불길한 사건을 예감하는 능력은 무엇일까.어느날 오후 다방에 앉아 친구를 기다리고 있었다. 카운터의 젊은 여자는 만화책을 열심히 ... ...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01
초능력은 과학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저승에 다녀왔다는 사람들의 증언은 진실일까. 상식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신비한 현상에 대해 사람들의 입장은 지지 아니면 반대로 양분되기 쉽다. 하지만 단순히 한쪽 입장을 편들기 이전에 과연 초자연현상이 무엇이고 여기에 대한 과학적 해석은 어떻게 제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