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구락지
두꺼비
frog
개구리참외
참외
개구리헤엄
헤엄
d라이브러리
"
개구리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다수 있다.캐나다 오타와에 있는 칼톤대학의 케네스 박사팀은 동면하는 네종의 보통
개구리
를 사용해 실험한 결과, 이들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물이 65%가 언 상태에서도 수일 혹은 수 주간 살아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소련의 과학자들도 시베리아 도룡농이 언채로 살아있는 것을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가진 것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다. 혼자서 방안에 조그마한 실험실을 차려놓고 물고기
개구리
등을 해부 해보기도 하고 라디오 경보기 무전기 등의 부품을 조립해 완성해보기도 하는 등 여러가지 재미있는 실험을 하며 항상 과학자가 되겠다고 떠들고다녔다. 그러나 중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한국의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매우 뛰어나 강입구 물속의 지형을 쉽게 식별해낼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없다.4
개구리
는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은신을 활용한다. 두꺼비 중에는 매우 적극적인 방법으로 제 자신을 지키는 놈이 있다. 불꽃배두꺼비가 뱀을 만나 다급하게 되면 어떤 행동을 할까?① 몸을 부풀린 뒤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nuclear substitution)으로 동물의 복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국의 거덴(Gurden)박사가 복제
개구리
의 창제에 성공한 데 이어 스웨덴의 호페(Hoppe)와 일렌세(Illensee)박사팀은 우리와 같은 포유류인 쥐에서 복제생쥐(클론생쥐)를 만드는 개가를 올린 바 있다.이제 복제인간의 출현을 굳이 불가능한 일이라고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사는 하마지만 그렇다고 수중생활의 전문가는 아니다. 눈과 콧구멍이 높이 돌출한 점은
개구리
와 흡사해 수륙양서(水陸兩棲)할 수 있으나 하마는 물이 없어도 죽지 않는다.해가 지고 어둑어둑해지면 하마무리는 먹이를 찾아 뭍으로 오른다. 자주 배설되는 대소변을 짧지만 힘센 꼬리를 좌우로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등장했다.해외과학자 유치와 기술도입에만 몰두하던 '우물안
개구리
' 국내 과학계가 국제화시대를 맞아 풀어야할 과제에 대해 전문가들의 견해를 들어본다.현원복-오늘 논의할 주제는 국제화시대에 들어선 우리 과학계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냉정하게 우리 현실을 ... ...
바퀴벌레의 행동양식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②입에 물을 머금고 머리를 흔들어 물을 꿀꺽거리게 함으로써 산소를 뽑아낸다.③
개구리
와 같이 허파의 축축한 피부로 산소를 공급받는다.3 물고기 중에는 수컷이 둥지를 만들고 암컷에게 알을 낳게 하는 신기한 고기가 있다. 이것이 가시고기인데, 번식기가 되면 수컷의 배 부위가 붉게 변한다. 이 ... ...
무더위의 독기를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선이 있인 은천 참외가 주종이다. 색깔이 유난히 노랗고 선이 없는 감 참외나 보통
개구리
참외라고 불렸던 성환 참외는 1950년대까지 재배됐으나 모양과 맛이 뛰어난 은천 참외에 밀려나 최근에는 보기가 힘들다.노란 단내나는 맛으로 사랑받아온 참외는 화채 이외에도 쇠고기 파 고추장을 같이 ... ...
제주도의 동굴과 지형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가르치면 되겠지'하고 막연하게 생각하다가 여러 선생님들을 만나보니 그동안 우물안
개구리
였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송악산에 오를 때는 힘들었지만 위에서 이중분화구를 내려다 보니까 제주도가 화산지형이라는 사실을 저절로 이해하겠더라고요. 역시 지구과학은 '앉아서'하는 학문이 ... ...
곰은 동면중에 배설을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있다.6 ③ 동면 중인 곰은 전혀 배뇨 배변을 하지 않는다. 물론 먹이도 먹지 않는다.
개구리
나 뱀과 같은 변온동물은 추운 겨울에는 체온이 내려가고 신진대사의 속도가 저하되므로 활동을 안하고 겨울잠을 잔다. 그러나 곰은 반 휴면으로 체온이 내려가지 않는다. 곰의 체온은 언제나 35℃ 이상으로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