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면
바깥
외부
외면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겉
"(으)로 총 1,068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밝기는 무한대가 돼야 한다.
겉
보기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 감소하지만
겉
넓이는 제곱에 비례해 증가한다. 공껍질 하나하나의 전체 밝기는 반지름, 즉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하다. 우주가 무한하다면 무한히 많은 공껍질을 상상할 수 있으며 밤하늘의 밝기는 무한대가 된다. 제시문_나 시간에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없으면 만들기 어렵다. 또 패스트리 같은 종류도 첨가제가 많이 들어간다. 결국
겉
모습이 다채롭고 입에 감기는 빵은 첨가제의 작품인 셈이다.한편 식품이 썩지 않고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보존료도 식품첨가물의 중요한 목록이다. 보존료로는 안식향산이나 파라옥시안식향산의 에스테르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제비와 귀제비의 집도 훌륭하지만, 새 전문가들이 최고로 꼽는 집은 까치집이다.
겉
에서 보면 나뭇가지를 얼기설기 대충 엮어 놓은 것 같은 까치 둥지를 사람이 직접 만들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까치가 둥지를 하나 만드는데 사용하는 나뭇가지는 2000여 개. 둥지 하나를 완성하는데 짧게는 1개월,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거칠어도 자연 그대로 약간 거무튀튀한 색을 띠는 사과를 고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겉
만 보고 판단하지 말아야 할 과일이 또 있다. 포도를 잘 살펴보면 하얀 가루가 묻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 가루를 보고 농약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가루는 포도가 함유한 당분이 밖으로 ... ...
[지구과학]암석의 변성작용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공기 중에 많을수록 늘어난다. 결국 응축되는 분자 수가 증발하는 분자 수와 같아져
겉
으로 보기에 아무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동적평형이라고 한다. 동적평형 상태에 있는 증기의 압력을 증기압력이라고 한다. - 고등학교 화학 Ⅱ 교과서 강수 이론 중 빙정설은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해서 음량이 2배가 되지는 않는다. 벨은 실험을 통해 소리의 세기가 약 10배 증가해야
겉
보기 음량이 약 2배 커짐을 밝혔다. 소리의 세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소리의 세기(세기레벨) = 10log I/I0 I는 측정된 소리의 세기이며 I0는 기준값(10-12W/m2)이다. 보통 사람들이 대화하는 소리의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스펙트럼형을 측정했다. 철수가 측정한
겉
보기 6등성인 별 A의 시차는 0.3″이다. 별 B는
겉
보기 1등성으로 시차는 0.05″이고 스펙트럼형은 둘 다 K형이다. 단 모든 별은 흑체로 가정한다. 1) 별 B의 실제 밝기(광도)는 별 A의 몇 배인지 구하라. 2) 철수는 별 B와 태양의 시직경(관측자가 항성의 지름을 본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올 여름 늦은 저녁 동쪽하늘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목성 촬영에 도전해보자. 목성은
겉
보기 밝기가 밝고 다른 행성에 비해 시직경이 크기 때문에 비교적 촬영하기 쉽다. 게다가 목성 주위를 도는 4대 위성의 운동과 목성 표면의 다양한 줄무늬는 촬영에 큰 즐거움을 선사한다.행성을 촬영하는데 가장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물질이 얼음인지 궁금해 퍼 올린 흙을 분석기에 담기 전에 자세히 살펴봤다. 지구의 흙과
겉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하얀색 물질이 섞여 있었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까. 흙의 일부에 광학현미경을 들이댔다. 머리카락 지름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 미립자부터 다양한 입자들이 선명하게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영상을 보며 한 번 웃을 때 마다 용기를 얻는 것 같아 뿌듯했습니다.”정 교수는
겉
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물의 내면을 보여주는 X선 영상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고 이를 예술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뼈의 모습이 주는 혐오감을 줄이기 위해 X선 사진에 살갗을 덧입혀 생명력을 불어넣었고, 나뭇잎, 꽃,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