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d라이브러리
"
공중
"(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별 2011 토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째깍째깍….’드디어 파티 장소에 도착했어. 이제 시간도 다시 흐르기 시작하네~. 아까
공중
에서 멈춰 있던 바니도 무사히 도착했구나! 이번 파티는 특별한 만큼 평소 보기 어려운 토끼들도 많이 참석했어. 그럼 지금부터 특별한 내 친구들을 소개시켜 줄게!롭이어난 롭이어(lop ear)야. 귀가 아래로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버튼 하나로 제어해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일 소총탄을 이용한 정밀 사격이 힘들면
공중
폭발탄을 쏜다. 이때 튀어나오는 300여 개의 파편을 이용해 숨어있는 적군도 공격할 수 있다. 이처럼 총탄 하나로 수십 명을 살상하는 위력이 있지만 무게는 6.1kg에 불과하다. 길이도 기존 총기보다 짧은 86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균형을 유지하며 걷게 만드는 것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걸음을 걸어 보려고 한 발을
공중
으로 들어올리는, 첫 걸음걸이를 내딛는 상황 자체가 로봇에게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대로 중심을 잃고 인형처럼 넘어가기 십상이죠.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두발로봇을 만드는 가장 큰 숙제입니다.발목 ... ...
하늘을 나는 뱀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있답니다.물리학이라구요? 어려울 것 같지만 설명해 주시겠어요?그렇게 어렵진 않아요.
공중
에서 파도처럼 움직이면서 중력 작용을 줄이는 거지요. 미끄러지면서 몸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데, 그 힘이 제 몸무게보다 크기 때문에 하늘을 날듯이 이동할 수 있어요. 과학자들은 제 몸이 하나의 ... ...
재미있는 과학 재미있는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본떠 초강력 접착제를 만들기도 했어요.* 가임 교수님이 이그노벨상을 받은 ‘개구리
공중
부양 동영상’을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 알립니다 게시판에서 확인하세요.엉뚱함이 가져다 준 노벨상이렇게 엉뚱한 제가 2010년에는 ‘그래핀’에 대한 연구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합니다. 그게 무엇일까요?…네, 해태는 “기둥이 별 모양이다”고 대답했고, 불여우는 “
공중
에 떠 있다”라고 대답했어요. 둘 다 황당한 대답이네요. 다행히 이건 연습 문제였어요. 정답은 “만든 나무가 특이하다”예요. 바로 느티나무를 썼으니까요!전등사 대웅전의 기둥은 느티나무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종이 헬리콥터는
공중
에 잠시 떠 있다가 프로펠러가 멈추면 즉시 떨어진다. 헬리콥터가
공중
에 떠 있는 시간을 기록하는 모습도 보인다.“헬리콥터는 어떻게 하늘로 뜰까요?”교사의 질문에 학생들이 앞다퉈 손을 든다.“프로펠러가 빙빙 돌면 헬리콥터가 날 수 있어요.”교사가 헬리콥터의 원리를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공중
에 떠 있을 수 있었다는 게 하비 교수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한 번
공중
에 떠오르면 큰 날개에 바람을 받아 대륙을 가로지를 만큼 긴 거리를 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튼 교수는 “몸집이 큰 새는 대부분 날개짓을 하기 전에 두 발로 달린 후 뛰어오른다”며 “몸집이 ... ...
붕~, 떠서 달린다! 자기부상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내 꿈을 어떻게 알았는지 마법의 양탄자 같은 마법 열차를 타러 간다는 거야. 양탄자처럼
공중
에 떠 있으면서 양탄자보다는 빠르고 편안하대. 이런 마법 열차가, 실제로 가능한 거야? 도심 곳곳을 달리는 자기부상열차우리가 도착한 곳은 대전에 있는 한국기계연구원이었어. 근데 열차라면 역에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가면 봉우리와 봉우리를 잇는 구름다리를 종종 볼 수 있다. 까마득한 계곡을 가로질러
공중
에 걸쳐 놓았기에 구름다리라는 이름이 잘 어울린다. 구름다리는 양쪽 기둥 사이를 이은 줄에 매달려 있어 바람이 불면 흔들리기도 한다. 발 아래로 천길만길 낭떠러지가 펼쳐져 있기 때문에 다리를 건너길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