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악플의 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탐지 기법', 과학기술통신부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용어정리*데이터 마이닝 : 대
규모
로 저장된 데이터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 내는 것*초평면 : 유한 차원 공간에서 그보다 1차원 낮은 공간을 이르는 개념*클러스터링 : 비슷한 데이터끼리 묶어 집합을 나누는 ...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은하 병합은 우주 진화 과정에서 빈번히 일어난다.일정
규모
이상의 은하단 중심부에는 대부분 거대 은하가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거대 은하는 수조 개 이상의 항성을 거느리며 밝은 빛을 낸다. 대표적으로 처녀자리 은하단의 중심부에 위치한 타원은하 M87은 지름 1 ... ...
피플┃우주 산업은 왜 인공위성에 주목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최초의 조약인 ‘국제우주조약’ 발효다.지구에서 열리는 전 세계 우주 행사 중 가장
규모
가 큰 세계우주주간은 인간에게 우주가 주는 이점을 알리고 우주 개발을 위한 공공의 관심과 원조를 유도하며 전 세계 우주 관련 기관의 활동을 독려하는 게 목표다. 유엔 산하 비영리기관인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주변에서 초신성이 폭발하거나, 활동성 은하핵에서 강렬한 감마선을 방출한다면 대
규모
멸종이 일어날 것이다. 생명체가 거주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골디락스 행성은 우리은하에만 14억 개쯤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주 전체로 눈을 넓히면 대략 14조 개의 골디락스 행성이 있다. 모든 골디락스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시장분석기관 마켓앤드마켓은 2022년까지 초소형 위성 시장이 35억 달러(약 4조1500억 원)
규모
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초소형 위성의 가장 큰 장점은 경제성이다. 개발에서 발사까지 필요한 비용이 대형 위성의 1~2% 수준이다. 대형 위성은 발사에 한 번 실패하면 엄청난 비용 낭비로 이어지지만,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새로운 은하들과 가스를 보충하는 통로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필라멘트 중에서도 거대한
규모
로 길게 늘어져 있는 것들은 ‘장성(Great wall)’이라고 한다. 장성 중 하나인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은 길이가 100억 광년에 이른다. 관측 가능한 우주 지름의 약 11%를 차지하는 엄청난 ... ...
안혜연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SW 업계에서 성장 원동력은?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제가 입사할 당시 100명
규모
였던 회사가 5년 만에 만 명 단위의 대기업이 됐어요. 회사
규모
가 커지니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져 아쉽더라고요. 전문성을 갖춰 새로운 일을 해보자는 마음에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고, 그곳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공부했습니다. 보안 회사는 어떻게 다니게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GPU)와 같은 ‘인공지능 가속기’를 넣어 설계하는 것이다. CPU로만 이뤄진 반도체는 대
규모
데이터 처리 능력이 떨어진다. CPU가 중앙에서 모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제어하기 때문에 연산하는 양이 많아질수록 CPU와 메모리 사이의 병목현상이 발생해 속도가 떨어지고 전력 소모가 크다.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우주기술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필자 역시 갈수록
규모
가 커지는 우주기술 분야에서 국제 협력은 필수이며, 우리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일까 고민하던 차에 그의 말이 깊이 와 닿았다. 그런 그에게 마지막으로 우주와 과학을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조언을 ... ...
강원 산불을 키운 범인은?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불을 피해 차량 뒤에서 대피하고 있다. 불 붙은 나무 맞히는 확률 모형실제로 산불의
규모
를 결정하는 데는 ‘얼마나 빠르게’ 산불이 번지느냐가 중요하다. 이에 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일 방안으로 해외에서는 산불 확산과 관련된 수학 모형을 만들어 연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상희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