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김"(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은 한국 동계스포츠의 전환점이 됐다. 이상화, 이승훈, 모태범 선수가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최초로 금메달을 땄기 때문이다. 쇼트트랙 종목에서만 강세를 나타내던 국내 동계스포츠의 경쟁력이 한 층 확대된 계기였다. 특히 이상화 선수는 올해 올림픽 3연패를 노리고 있다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파란색 스키복이 돋보이는 선수가 붉은색과 파란색 기문이 꽂힌 슬로프를 S자 모양으로 활강한다. 기문 사이를 몇 차례 멋지게 통과하고 마지막 기문을 향해 방향을 회전하는 순간, 중심을 잃고 쓰러져 버렸다. 한 바퀴를 구르고 폴대까지 놓친 채 널브러진 선수. 여기저기서 달려온 스태프들이 쓰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올림픽을 향해 4년을 달려온 선수들을 위한 또 하나의 중요한 기술은, 금지 약물을 철저히 가려내는도핑 테스트 기술이다. 특히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도핑 스캔들’을 일으킨 러시아 선수들이최근 대거 출전 금지를 당하면서, 평창 동계올림픽은 역대 가장 엄격한 도핑 검사를 예고하고 있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과학동아에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이라는 코너를 연재한 뒤 여기에 살을 붙인 것이다. 김 교수는 양자역학을 ‘동네 어르신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면서도 양자역학의 핵심이 되는 전문적인 내용을 피하지 않았다. 대중성과 전문성의 균형감이 돋보인다. 책은 ... ...
- [과학뉴스] 그래핀과 포스포린 장점만 모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발생했다. 전류 흐름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데다가 전하 이동도 빨라진 셈이다. 김 교수는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통해 고성능 반도체 소자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실렸다 .doi:10.1103/PhysRevLett.119.22680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뤄지고 있다. 폴더블폰 다음엔 어떤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가 등장할까. 김 교수는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섬유처럼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현재 과학자들은 신축성 있는 메모리와 배터리, 트랜지스터를 연구하고 있다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데 들어가는 비용을 기존의 80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실험 속도도 확연히 빨라졌다. 김 교수는 “세포에 가하는 전기자극의 조합은 전압과 주파수 등의 조합에 따라 경우의 수가 무한대”라며 “하나의 칩에서 여러 조건을 동시에 실험하는 바이오칩은 세계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는 새로운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있지만, 나의 생각이나 의지가 아니라 단지 심장의 단독행동이었을 수 있다는 겁니다. 김과동, 최기자가 등장할 이 드라마는 한국인이 선호하는 감동 코드로 끝을 낼 겁니다. 뻔하다고 해도 어쩔 수 없습니다. 실제로 장기이식이라는 큰 수술을 마친 뒤에도 많은 수여자들이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작성한다. 고등학생이면서도 한 명의 과학자로 연구를 해나갈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 김 입학팀장은 “올해는 3D프린터와 같은 첨단 장비를 활용해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드림디자인센터를 완공했다”며 “수학과 과학을 정말 좋아하고 즐기는 친구들이 진학해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고 통통했던 몸집은 폭삭 가라앉습니다. 모락모락 피어오르던 김이 사라질 무렵에는 이미 바삭했던 표면이 물렁물렁하게 변해있습니다. 이에 비해 애플파이는 꽤 오랫동안 바삭함을 유지합니다. 심지어 아침에 만든 애플파이가 해가 질 무렵이 될 때까지도 겉은 바삭하고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