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중"(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취지에 걸맞게 독일 베를린 시내 한 극장에서 진행됐어요. 40개국에서 150명의 수학 대중화 전문가가 모여 수학을 좀 더 흥미롭고 재미있게,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할 방법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지요.사실 이번 콘퍼런스는 그동안 세계 각지에서 이매지너리 수학 체험전을 운영해왔던 전문가와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생각한다. Q. GMO를 찬성하는 학문적 근거는 무엇인가.로버트: 과학자가 아닌 일반 대중들은 아직도 GMO의 안전성에 많은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 사이에서 GMO가 안전하다는 것은 학문적으로 일치된 바다(scientific consensus).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GMO는 식물 육종을 위한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높이기 위해 버스노선을 새로 설계하는 작업도 있다. 대전은 전국 광역시 중에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이 가장 낮은 도시로, 버스 수송분담률이 23.7%(2012년 기준)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대전에서 수집할 수 있는 교통 빅데이터를 토대로 수송 모형을 만든 뒤, 슈퍼컴퓨터에서 승객 역할을 하는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자격을 갖게 됐다. 하지만 거만해지는 대신, 자신의 연구와 인체 해부학 강의 경험을 대중에게 친절하게 소개하는 ‘내 안의 물고기’라는 진화 책을 썼고 성공한 물고기 덕후의 삶을 이어갔다. 유전자 가위 이용해 지느러미 가시-손 뼈 공통 기원 증명주목 받는 젊은 학자였던 슈빈 교수는 이제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선을 신설하거나 개편하고, 진입로 지역에도 신규노선을 투입했다. 다양해진 대중교통으로 더 편리하게기존의 버스와 중전철(지하철)은 간극이 너무 컸다. 버스는 시간당 1000~5000명 정도를 운송할 수 있는 반면, 중전철은 시간당 2만 명 이상 운송할 수 있다. 하지만 건설비만 km당 900억~1000억 원이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10진법 체중계가 옆에 놓여 있었지만 무게를 정확하게 달아보지는 않았다. 그냥 눈대중으로 대충 15킬로가 될 만큼 쌓아 올린 다음 쓰러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품에 안았다. 그러고는 12진법 체중계 쪽으로 다가갔다.‘내가 일일이 잴 필요는 없는 거야, 그렇지? 타임머신이든 뭐든, 무게 재는 기계는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구 모양의 스펙트럼으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조명이나 스크린 등을 개발할 때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기준이다. 색온도 25,000K색온도는 빨강보다 파랑이 훨씬 더 뜨겁다. 하지만 일상에서는 파란빛을 낼 만큼 뜨거운 물체를 볼 일이 거의 없다. 뜨거운 파랑을 보고 싶다면 우주로 가야 한다.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부족한 시간을 메우기 위해서다. 당장 2학기에 진행할 글쓰기, 인포그래픽 디자인, 대중강연 등 굵직굵직한 과제를 준비해야 한다. 과학커뮤니케이션에 종사하고 있는 현업자와의 만남도 계획 중인데, 때마침 과학동아 기자가 찾아와 일을 덜었다(?)며 모두 반가워했다. ▲황현정 씨(오른쪽)와 UGRP ... ...
- [Editor’s Note] 섞임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교감이다. 8월 6일 토요일에는 과학동아가 정성을 기울여 준비한 교감 이벤트가 열린다. 대중 과학 강연 축제 ‘사이언스바캉스’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올해는 인공지능과 중력파, 우주의학, 원소과학 등 주목 받는 과학 분야 강연 9개와 부대행사를 마련했다. 그 분야를 직접 연구하는 국내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곳에서 미래의 가속기 전문가들을 키우고 있는 김은산 교수를 만나 봤다.“대중은 새로운 입자를 발견한 것처럼 화려한 성과에만 주목하지만, 과학계에서는 그 밑바탕이 되는 가속기를 만든 학자들을 노벨상을 수여할 만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기자 역시 ‘가속기 과학자’들에 대해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