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레이저"(으)로 총 1,346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한 로봇을 창조해냈다. 135cm의 키와 30kg의 몸무게를 지닌 이 로봇은 무쇠처럼 단단한 팔과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손가락, 로켓으로 추진하는 다리, 발칸포를 발사하는 엉덩이를 갖고 있었다. 바로 우주소년 아톰이다.그러나 오사무의 상상 속 미래는 이미 과거가 됐고 아톰은 실재하지 않는다. 인간을 ...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개를 흡수할 때 들뜬 상태가 되는 현상이다. 연구단은 파장이 1064nm인 적외선 펄스 광섬유 레이저를 이용해 2광자흡수 현미경을 개발했다. 이 현미경을 사용하면 500nm대에서 광자를 흡수하는 조직이나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사람의 피부 조직이 여기에 해당한다.김 교수는“파장이 1064nm인 빛을 ...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눈에는 실제처럼 보인다. 그런데 빛은 너무 빨라서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물체에 레이저를 쏴 반사돼 나오는 빛을 간접적으로 기록하는 기술이 있긴 하지만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 실생활에는 쓰이지 못하고 있다.여기에 햅틱(haptic) 기술까지 더해지면 리얼리티는 한 차원 더 업그레이드될 수 ... ...
- 미래형 산타클로스 썰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공기 저항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는 외피를 만들 거예요. 뿐만 아니라 썰매 앞에는 레이저가 달려 있어 가장 빠른 길을 찾아 빛을 비춘답니다.정말 판타스틱하네요! 하지만 많은 선물들은 어떻게 다 싣나요? 그것도 무척 중요한 문제 아닌가요?걱정하지 마세요. 이 썰매에는 탄소를 합성해 ... ...
- IT, BT, NT 넘나드는 세계적인 연구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고된 일상을 지탱해준 큰 힘이 됐다.석사, 박사 과정을 거치면서 고분자 박막레이저, OLED, 광메모리소자를 비롯한 첨단 광전자 소자에 쓰이는 ‘신기능 형광성 분자 재료’를 연구했다. 구체적으로 그 과정은 분자 설계, 재료 합성, 특성 분석, 소자 제작과 구현의 연속이었다. 이를 위해 양자화학, ... ...
- 천왕성, 해왕성에 다이아몬드 보물섬 있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액체로, 액체에서 고체로 바뀌는 순간 온도를 측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연구진은 레이저를 이용해 다이아몬드에 극한의 압력을 가했다. 해수면에서 느껴지는 기압의 4000만 배에 달하는 압력에 이르자 다이아몬드가 녹기 시작했다. 이어 압력을 1100만 배로 낮추자 온도는 5만℃까지 떨어졌다. ...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없다. 태양풍을 쓸 경우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면 소용이 없다. 레이저 빔의 경우는 막대한 레이저 인프라가 필요하다. 웜홀 빛보다 빠른 우주여행방식. 우주 시공간에 생긴 구멍인 웜홀을 이용함으로써 빛보다 빠른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것. 웜홀은 지름길인 셈이다. 하지만 아직 웜홀의 존재도 ... ...
- 분자전자재료공학과학동아 l2010년 02호
- 가능성이 매우 큰 공학 분야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주로 LCD,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레이저 프린터의 감광드럼, 리튬 폴리머 전지, 광메모리 등 정보통신 산업 전반에 이용되고 있다. 유기 물질로 이뤄진 트랜지스터와 같은 분자전자재료공학의 새로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유기 태양 전지, 둘둘 ...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2030년 이후에는 국산 위성을 보호하고 한반도 상공을 위협하는 위성을 공격하는 레이저 무기를 확보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군과 민간에서 사용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에 한국의 독자 기술도 추가될 전망이다.공군은 한국 첫 우주인이 배출된 2008년에 우주 정책과 기획업무를 담당할 ...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최초의 X선 레이저 작동 시작미국 SLAC 국립가속기연구소는 지난 4월 세계 최초의 X선 레이저 선형가속기결맞음광원(LCLS)을 발진시켰다. 3년 동안 4억 2000만 달러(약 4900억 원)를 들여 개발한 LCLS는 3km에 이르는 선형입자가속기에서 가속된 입자에서 나오는 강력한 X선 펄스를 이용한다. 펄스는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