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등 대형 포들은 발포 시 충격이 워낙 크기 때문에 영화에서처럼 좌우의 총구멍에서 발사했다면 배가 뒤집힐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배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대형 포들은 배의 앞부분에 배치돼야 한다는 것이 채 교수의 주장입니다.오늘날 무기 기술은 신기전과 거북선에 비할 수 없을 만큼 ...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발사체 제어 시스템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연소시험 이후 발사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세밀하게 점검한 결과 발사체 상태도 정상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7월 말까지 엔진, 추진 공급계, 전자탑재장치, 열제어화재안전계 등 각 시스템을 최종 점검하고 ... ...
- [에디터 노트] 154.21초의 피, 땀, 눈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나로우주센터로 가는 길은 멀고 험하다. 전남 여수공항에서 자동차로 2시간을 달려야 한다. 육지와 섬을 이어주는 다리를 지나 10분가량 울 ... 보낸다. 더 큰 박수는 2021년을 위해 아껴둔다. 앞으로 남은 많은 시험을 거쳐 한국형발사체가 우주에 날아오를 때, 그때가 진정한 성공이니까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발동한다. 조직 차원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헌트는 러시아의 핵무기 발사 암호를 빼내는 임무에 도전한다. 이 영화에서 최고의 명장면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초고층 빌딩으로 꼽히던 828m 높이의 두바이 부르즈 칼리파 외벽을 ‘스파이더 장갑’ 하나만 끼고 기어오르는 장면이다. ... ...
- [과학뉴스] 인공위성 리무브데브리스, 우주 쓰레기를 치우러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RemoveDebris)’를 만들었어요. 이 우주선은 4월 2일 스페이스X의 팰컨 9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어요. 앞으로 반 년 동안 우주 쓰레기를 치우는 여러 장비를 시험할 예정이지요. 우선 리무브데브리스는 우주 쓰레기를 붙잡을 수 있는 그물과 작살을 가지고 있어요. 그물은 느리게 움직이는 우주 쓰레기를 ...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될 수 있다”고 말했다. NASA는 2020년 ‘마스 2020 로버’로 불리는 새 화성탐사선을 발사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구조는 큐리오시티와 유사하지만, 관측 장비를 업그레이드 했다. 특히 ‘목시(moxie)’라는 장비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꾸는 실험을 진행하고, 화성 상공에 드론을 띄워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닮은 외계행성들을 더 많이 찾아낼 것”이라며, “이렇게 TESS가 찾아낸 외계행성을 내년 발사 예정인 제임스웹 망원경이 더욱 상세히 관측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건 연구실에 설치된 ‘라이다’ 센서 덕분이에요. 라이다 센서는 주변에 레이저를 발사한 뒤, 이 레이저가 물체에 반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서 주변 사물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해요. 그 결과 벽, 책상 등 주변 환경이 가상현실에 그대로 반영되는 거지요. 또한 연구실에 설치되어 있는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기억이 떠올랐다. 정말로 그렇다면 그것은 문제였다. 힘들게 우주 멀리 핵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예상했던 만큼 소행성을 움직일 수 없을지도 모른다. 아니면 계산과 달리 엉뚱한 방향으로 소행성이 틀어질 지도 모른다. 혹시 지구로 더 빨리, 더 위험한 방향으로 떨어지기라도 한다면. 김 박사는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벌룬의 발사와 추적까지는 완벽하게 이뤄졌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발사였다. 독자들이 이 책을 받아볼 때인 5월 말쯤 필자는 다시 삼척에 있을 것이다. 바람 방향이 바뀌는 6월 전에 시험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다. 그 때는 완벽하게 성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관중_kjyee@snu.ac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