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d라이브러리
"
변이
"(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5 유전자 지문, 범인 색출·친자감별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미량인 검체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핵 DNA에 의한 DNA 타이핑이 곤란한 경우 mtDNA 과
변이
부위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개인식별이나 가족관계 규명이 가능하다.최근 월남전에서 실종된 미군이나 1910년 대에 사망한 러시아 마지막 황실인 차르(Tsar Nicholas Ⅱ of Russia) 집안의 가족 관계도 유골에서 ... ...
인류 탄생 남과 여, 누가 먼저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할 수가 없다. 당연히 정교한 도구의 제작 및 사용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또한 유전자
변이
에 따른 계통수적인 분포에서도 먼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이에 대한 연구는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하겠지만, 일단은 인간은 원숭이류와는 출발점이 다르게 보인다. 그렇다면 왜 아프리카에서 현 ... ...
동물의 행동 지배 유전자 연구 가능성 열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점이다. 어느 유전자건 뭔가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가령 period라는 유전자에
변이
가 일어나면 수컷은 구애의 노래 리듬을 잘 타지 못하게 된다. 이 유전자는 본래는 체내시계의 유전자로서 발견된 것이다.초파리의 유전자중 몇가지는 사람에서도 같은 것이 발견돼 있다. 그렇다면 파리를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소아마비 천연두가 그 대표적 성공사례이다. 그러나 이는 우연하게도 이들 바이러스는
변이
가 심하지 않으며 사람만이 유일한 숙주였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운 좋은 사례이다. 에이즈바이러스는 빠른 속도로 변하고 진화하며 환경에 잘 적응하므로 백신개발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 ...
사람 항체 만드는 트랜스제닉 쥐 개발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만드는 이 기술을 사용하면 정자나 난자와 같은 생식기관을 통해 시험관 안에서
변이
시킨 형질을 정확하게 차세대 개체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이점은 종래의 수정란을 이용하는 기술에서는 도저히 불가능한 수백만개라는 세포 중에서 필요로 하는 형질을 가진 세포를 취사선택할 수 있다는 ... ...
아프리카, 살인 바이러스 에볼라 공포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생존전략은 끊임없는 돌연
변이
. 바이러스는 다른 미생물의 1백만배의 속도로 돌연
변이
할 수 있다. 대개의 바이러스는 공진화를 통해 숙주를 죽이지 않는 선에서 공생을 꾀하는데, 이 또한 살아남기 위한 고도의 진화결과라 할 수 있다.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바이러스들이 자꾸 얼굴을 내미는 이유에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병리학적 진단이 애매한 경우도 있다. 이때는 발암유전자의 검색을 통해 발암유전자의
변이
를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발암유전자의 검색은 장차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인 암전병변(preneoplastic lesion)의 조기 발견과 치료에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알렉산더 캠 등은(사이언스지 수록) 신장암 방광암 유방암 흑색종 등의 발병과 p16의 돌연
변이
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 단백질과 관련되 암발생이 전체 암발생건수의 58-75%를 점한다고 서술했다. 또 그들은 p16의 질량(16킬로달톤)이 p53보다 4배쯤 가볍고 p16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 ...
수수께끼의 병원체 프리온 정체 밝혀진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게다가 병을 일으킨 쥐의 뇌를 또 다른 건강한 동종 쥐에 접종하자 병을 일으켰다. 혹
변이
형단백질이 감염을 매개하지 않는다면, 어떤 쥐도 발병하지 않았을 것이다 ... ...
남극, 녹색 대륙으로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번식하는 것이다.그러면 이곳뿐만 아니라 남극의 다른 지역에서도 이런 식물생태의
변이
가 일어나고 있을까?남극대륙 전면적의 95%는 두터운 얼음층으로 덮여있다.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곳은 나머지 5%에 해당하는 노출된 암석층이다. 지금까지 이런 지역에서 식물이 샘플링되어 왔다. 그러고보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