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래"(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추석 차례상과학동아 l1998년 10호
- 바치는 쌀밥을 메라 하고 국은 갱이라고 한다. 메는 특별히 되게 하는데 이것은 쌀의 본래 모습에 가깝도록 하기 위해 되게 만든다. 이 때 메와 갱을 올리는 위치는 우리가 밥과 국을 놓는 위치와 정반대다. 즉 밥이 서쪽, 국이 동쪽이다. 이를 반서갱동(飯西羹東)이라 한다. 이는 산자의 세계와 ... ...
- 수돗물 불소화는 꼭 필요하고 안전하다과학동아 l1998년 10호
- 및 물과 대기, 그리고 살있는 유기체를 포함하는 지구표면 물질의 기초 구성성분으로 본래부터 존재해오고 있다. 불소라는 원소는 모든 강과 우물물에 다양하게 존재한 다. 불소는 지구표면을 구성하는 물질 중에서 13번째로 많은 원소로서 지각의 약 0.032%가 불소이고, 바닷물에서는 12번째로 많은 ...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과학동아 l1998년 10호
- 홍수 같은 자연재난을 예견하는 장치도 있다. 또 동물들을 잡종교배해 괴물을 만들거나, 본래 종보다 크게 또는 작게 만드는 유전자조작술이 소개된다. 인체에 사용할 약의 효능과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해 실험 동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온갖 실험이 연구소에서 행해지고 있는 ... ...
- PartⅢ. ②부드럽고 충직한 로봇 비서 보트과학동아 l1998년 09호
- 해결되는가?물론 그렇게 될 수만 있다면, 그래서 누구도 악성 보트를 만들지 않고 보트를 본래 목적 이외의 곳에 악용하지 않는다면, 확실히 대부분의 문제들이 유보될 것이다. 그러나 Point MOOt의 예에서처럼 명시적으로 악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초래된 파국에 대해서는 역시 답이 아니다 ... ...
- ③ 다리 수명 무엇이 결정하나과학동아 l1998년 07호
- 구조물의 재료인 철강 등에 크기나 종류가 다른 힘이 반복해 가해지면 그 강재가 본래 지니고 있는 강도보다 훨씬 작은 힘에도 맥없이 파괴돼버리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이다.따라서 다리를 건설할 때는 지형과 지질 뿐만 아니라 30년 후의 교통량까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70년대 건설된 ... ...
- ② 돌다리에서 사장교까지과학동아 l1998년 07호
- 것. 이런 요건을 만족시키며 등장한 것이 인도교로는 아치교, 철도교로는 트러스교다.본래 석재 아치교는 교량 위로 사람이나 자동차가 지나가도록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나, 기술 이 발달한 현대에 와서는 한강대교(1936)나 동작철교, 서강대교와 같은 교량의 형식으로 발전했다.철새 도래지인 밤섬을 ... ...
- 모유냐, 우유냐과학동아 l1998년 06호
- 피를 흘리거나 염증이 생기기 때문이다. 젖꼭지는 발과 엇비슷하다. 사람의 발은 본래 몇시간이고 자갈밭을 달릴 수 있을만큼 단단했으나 양말과 구두의 보호를 받은 뒤부터 기능이 저하되어 맨 땅에서는 쉽사리 금이 가고 피를 흘린다.젖꼭지 역시 노출된 채 햇볕과 비바람을 잘 견뎌냈으나 사람이 ... ...
- 주방속의 과학실험과학동아 l1998년 06호
- Ag+) 상태이기 때문에 알루미늄으로부터 전자를 받으면 금속은이 될 수 있다. 녹슨 은이 본래의 은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결정적인 이유는 알루미늄이 은보다 전자를 쉽게 내놓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소다를 넣어주는 이유는 무엇일까. 알루미늄 포일 표면에는 얇은 산화알루미늄 막이 있어서 순수한 ... ...
- 2. 앤지오스태틴과 에도스태틴의 미래과학동아 l1998년 06호
- 실장(식품의약품안전청 동물실험실)은 "CYP가 약물을 산화시키는 과정에서 약물로 하여금 본래의 활성보다 더 큰 활성을 일으키게 만들어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비단 CYP뿐 아니라 아직 알려지않은 수많은 복병에 의해 약이 예상치 못한 독성 물질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 ...
- 물건을 사는 수학적 지혜과학동아 l1998년 06호
- 따라서 A/(χ+1)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