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유
점유
입수
소지
소유물
소장
취득
d라이브러리
"
소유
"(으)로 총 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5인당 1대씩을 쓸 수 있다. 또 현재 서울시내에 짓고 있는 재단(삼문학원, 이사장 김기병)
소유
의 빌딩이 완성되면 그곳에서 대형컴퓨터운용을 실습해 교육의 질을 높일 계획이다. 졸업 후 대우 인정 문제 남아한편 미림전산여고의 교사진은 현재 전자계산학과(8학급)로만 편성된 신입생들이 2학년이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운동을 일으키는 사람들이다. 대체로 이들은 산간벽지에 살고 있는 보잘 것없는 학력의
소유
자들이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외계인들과 접촉하기 시작하면서 뛰어난 언변과 문장력을 발휘하며 강연회와 저술작업을 시작하는 것이다.이들의 철학은 나름대로 심오한 경지에 도달했으며, 기존의 성자와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정리하는 사람을 유능한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는 이러한 능력의
소유
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게 되고, 이는 좌뇌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우뇌를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을 받은 후 사회생활을 하면서 우뇌를 사용할 기회를 갖지 못해 자연히 우뇌는 잠자는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순전히 그 무기의 성능만 높고 본다면 이제 한물간 것 들이다. 미국 소련이 개발
소유
한 V계열 신경제보다 한결 위력이 떨어지는 독일계 G계열, 그것도 가장 오래된 타분이 주종이라는 사실에서도 '후진성'을 엿볼 수 있다.걸프전쟁이 인류 종말의 시작이 아니라면, 어쩌면 화학전까지는 가지 않을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대학과 전문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주의 국가이므로 모든 기관은 국가
소유
이고 연구비 또한 거의 전액이 국가로부터 지급된다. 소련의 어려운 경제여건과 낮은 생활수준을 감안할 때 연구소 숫자나 연구비 액수는 높은 편이다. 5년제의 대학과정소련에서는 10년의 초중등교육을 거쳐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과학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에디슨과 아인슈타인은 탁월한 능력과 재능을
소유
한 천재(genius)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이들은 학습문제장애영재였다. 그 당시에는 학습문제장애(learning disabilities)라는 연구가 전혀 없었으므로,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어린이'라고 주위사람들의 놀림을 받았고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가장 많은 먹이를 가진 쥐가 되었다. 물론 카디악 글리코사이드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소유
한 여러 종류의 동물들이 존재한다면 제왕들에겐 치명적인 것이지만 그것은 진화상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닌듯 하다. 이 한가지 쥐 종류만 제외하고선 제왕나비들은 생존에 위협이 없는 것이다.명백히 이는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관계자가 소련선박으로 남극을 일주한 바 있다.우리측이 가지고 있는 교류안은 세종기지
소유
의 땅 일부를 북한측에 기지 부지로 제공한다는 것. 이미 정부의 허가는 얻었고 비공식이긴하나 북측대표도 호의적인 반응을 보여 잘하면 91년에는 정부간에 이 문제가 공식거론될 가능성이 높다.북한학자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읽는 독자들에게 유학의 길을 권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러나 우수한 두뇌를 많이
소유
하고 있는 한국이 그것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늘 아쉬움으로 남는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젊은 과학도들이 끊임없이 탐구해 나갈 때 과학한국의 앞길은 밝으리라. ... ...
미국 공세에 쩔쩔매는 국내기업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소련은 공산국가이기 때문에 특허의 개념이 우리와 다르다. 즉 특허가 재산으로서 개인
소유
가 아니고 국가가 그 권리를 가진다. 개인에게는 발명자증이라는 영예만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소련에서는 기술의 독점화가 없어 기술이전이 한결 쉽다. 또 상업화가 될 수 있는 기초기술이 많기 때문에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