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4컷 만화] 절개 없이도 쥐의 머릿속을 뚜렷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월 30일 기초과학
연구원
분자분광학및동력학연구단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쥐의 두개골을 제거하지 않고도 쥐의 뇌 신경망을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을 공개했어요. 기존의 현미경은 쥐의 두개골을 열어야만 그 안의 신경망을 관찰할 수 있었죠.연구팀은 쥐의 뇌를 관찰할 때 쏘는 빛의 ... ...
[수콤달콤
연구원
의 비법노트] 입체도형 속에 우주의 신비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9호
뾰족한 각뿔부터 둥글둥글 구까지, 다양한 입체도형과 조금 더 친해졌나요? 이번엔 우주의 신비를 품고 있는 신기한 입체도형도 소개할게요. ...
[4컷 만화] 치타처럼 쌩! 질주하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할 수 있답니다. 8월 9일 오스트리아 요하네스케플러대학교 연성재료연구실 궈용 마오
연구원
팀이 공개했습니다.연구팀은 고무와 실리콘 성분의 탄성체 필름으로 쉽게 늘어나는 성질의 납작한 판을 만들어 구부렸어요. 그 안에 액체로 된 금속 코일을 넣었습니다. 자석 등을 움직여 만든 ... ...
[이달의 과학사] 1895년 9월 15일 최초의 인공감미료 사카린 특허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1965년 궤양 치료제를 만들던 화학자가 우연히 손가락을 핥았다가, 수크랄로스는 1976년 한
연구원
이 상사의 말을 잘못 듣고 염소 화합물을 맛본 덕에 발견되었습니다. 수많은 달콤한 발견 뒤에 부주의와 우연이 끼어들었던 셈이지요 ... ...
[가상 인터뷰] 대장균으로 노린재의 공생관계를 파악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맺고 있어요. 8월 4일 일본 국립산업과학기술원 생물생산연구소 타케마 후카수
연구원
팀은 갈색날개노린재의 장에 있는 판토에아를 제거하고 대신 사람의 장에 사는 대장균을 넣어 인위적인 공생관계를 만들고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노린재와 미생물의 공생관계가 어떻게 ... ...
[지구사랑탐사대] 여름캠프,천리포에서 자연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8월 13일 30여 명의 지구사랑탐사대 10기 대원들이 태안의 천리포수목원에 모였어요. 지사탐 대장이신 이화여자대학교 장이권 교수와 생태를 탐구하는 ... “지구사랑탐사대에 3년 째 참여하면서 현장 교육을 받은 것이 처음이었는데, 직접
연구원
들과 만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습니다 ... ...
[지구사랑 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궁금해요!박도윤 대원들꽃탐사대 팀Q이 잠자리는 어떤 종인가요? 배윤혁 매미
연구원
이 잠자리는 깃동잠자리입니다. 나비조윤성 대원 | 자연과인간 팀탐사 생물 호랑나비 애벌레발견 위치 충남 천안시 하정주 매니저나뭇잎 뒤에 숨어 있던 호랑나비 애벌레 발견! 머리 쪽의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8호
연구소는 어떤 곳?어린이
연구원
들이 ‘쓴맛’으로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이번 주제는 ‘원기둥’이에요. 원기둥이 가진 특징을 알아보고, 우리 주변에서 원기둥을 찾아보세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콤달콤 놀이연구소Part1.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 ...
[특집] 지금 당장 떠나라! 달나라 개척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7호
8월 5일 미국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나라의 달 탐사선 다누리가 발사됐습니다. 약 5개월 뒤인 12월 31일, 달 궤도에 진입해 임무를 시작할 예정이죠. 1972년 아폴로 17호의 마지막 달 유인 탐사 이후, 인류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통해 달 유인 탐사를 다시 꿈꾸고 있습니다. 달의 과거와 ... ...
[특집] 달나라 자원과 비밀이 묻힌 남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7호
달 남극에서부터 표면의 3분의 1을 덮을 정도로 거대해요. 한국천문
연구원
정민섭 선임
연구원
은 “이곳은 아주 거대하기에 달의 내부물질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했죠.올해 4월, 미국 브라운대학교 지구환경행성과학과 매트 존스 교수팀은 달의 앞면과 뒷면의 지형이 다른 이유가 소행성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