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Touch the Sun! 인류 첫 태양탐사선 파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얻도록 설계됐다. 또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태양전지판 날개를 양
옆
으로 펴고 에너지를 생산하지만, 태양 가까이에서는 태양전지판을 접는다. 태양의 열기가 너무 강해 태양전지판이 과열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관문 3. 태양풍 비밀 밝혀야 파커는 7년 동안 태양궤도를 돌면서 두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대푯값 편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0명인 반의 담임선생님이고 학생들의 수학 점수를 조사했다고 생각해 보세요. 우리 반이
옆
반보다 수학 시험을 더 잘 봤는지 알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바로 떠오르는 방법은 각 반의 1~30번의 점수를 각각 비교해 점수가 높은 학생이 많으면 잘 본 걸로 하는 겁니다. 그런데 더 못 본 반의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된 정자는 전동드릴처럼 회전하며 헤엄친다고 했습니다. 재밌는 것은 이때 머리를 양
옆
으로 세차게 흔드는 움직임도 함께 보입니다. 앞으로 나아가는 데 그다지 도움은 되지 않는 행동입니다. 그런데 난구세포에서 나오는 유인 물질을 감지하고 농도가 점점 높아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는 정자의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물질을 통해 전달돼요. 파동을 전달하는 물질을 ‘매질’이라고 하지요. 예를 들어
옆
에 있는 친구가 내는 소리는 공기를 매질로 해서 전달돼요. 이때 매질은 제자리에서 위아래로 진동만 할 뿐 이동하지 않아요. 실제 파동을 따라 전달되는 건 에너지랍니다. 대기는 ‘크다’는 뜻의 한자 ‘대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쇠공의 움직임으로 뉴턴의 법칙을 이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쇠공 하나를 바깥쪽으로 들어 올렸다가 놓아요. 그럼 쇠공은 원래 있던 자리로 돌아가
옆
자리의 추와 부딪힌 뒤 움직임을 멈추지요. 동시에 반대쪽 가장자리에 있던 추 하나가 바깥쪽으로 튕겨 나갔다가 돌아와요. 가장자리 끝의 쇠공 두 개는 마치 시소를 타듯 튕겨 나갔다가 돌아오는 걸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때마다 두 명의 수학자가 제
옆
에 앉게 됩니다. 각각의 참석자와 정확히 한 번씩 바로
옆
에 앉으려면, 저를 뺀 나머지 참석자 수 n-1명을 2로 나눈 총 1/2(n-1)번의 식사 시간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능하려면 n은 홀수여야만 합니다. 그간 이 문제와 관련해 100개 이상의 논문이 나올 정도로 ... ...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만드는 야구의 묘미다. 하지만 투수의 무기에는 강속구만 있지 않다. 아래로 뚝 떨어지고
옆
으로 휘어지는 변화구 역시 타자들을 당황하게 만드는 무기다. 타자를 놀리듯 방망이를 피해 글러브로 향하는 공을 보는 묘미도 크지 않은가.그렇다면 빠른 공을 가진 투수와 다양한 변화구를 던지는 투수 ... ...
[Culture]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려야 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일이었다.평상시에 밥그릇 앞에서의 공격성만 빼면, 코비는 보호자가 비행기를 몰 때
옆
자리에서 부기장처럼 얌전히 앉아있을 만큼 겁이 없고 성격이 좋다고 한다. 그런데 도대체 밥그릇 앞에서는 왜 그러는 걸까. 필자는 코비의 과거와 현재 행동을 관찰해 분석했다. 그 결과 코비가 아주 어렸을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약 100년 뒤 1732년, 누군가 무덤 속에서 평온하게 잠자고 있던 페르마를 끄집어낸다.
옆
동네 스위스에서 태어난 레온하르트 오일러다. 오일러는 함수의 기호 f (x)를 처음으로 사용한 수학자로, 본인의 이름을 딴 ‘오일러 정리’와 ‘오일러 수’를 만들어 명실상부한 수학계 유명인사로 거듭난다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보내지 못하며 직접적인 사랑 고백 역시 제한된다. 현실 세계와는 달리, 경쟁자들이 바로
옆
에서 생활한다는 것이 여러 가지 상념을 불러오기도 할 것이다. 또, 현실에서는 연애를 하더라도 매일 연애만을 생각하지는 않는다. 시그널하우스에서는 연애 감정에만 오롯이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