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빛 지문’ 외계행성 정체 밝힐까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미국 코넬대 연구팀이 ‘빛 지문’을 이용해 태양계의 19개 천체에 대한 참조 목록을 제작했다. 19개 천체 목록에는 태양계 8개 행성과 행성에 딸린 9개 위성, 그 ... 기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아스트로바이올로지’ 7월 31
일자
에 게시됐다.doi:10.1089/ast.2017.176 ... ...
[과학뉴스] ‘日 귀요미’ 마리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녹조류인 ‘마리모’는 테니스공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 덕분에 주요 서식지인 일본에서 사랑받는 생물이다. 마리모는 밤에는 물 아래로 가라앉고, ... 마리모의 광합성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8월 2
일자
에 실렸다. doi:10.1016/j.cub.2018.05.09 ... ...
[과학뉴스] 최초의 생명은 바로 지방?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 학술지인 ‘로열 소사이어티 인터페이스’ 7월 25
일자
에 발표했다.도런 랜싯 분자유전학과 교수팀은 지질이 RNA처럼 염기서열이 아닌 구성 성분의 양(구성 비율) 정보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생명체를 탄생시켰다고 설명했다.이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 연구팀은 ... ...
[과학뉴스] 로봇이 일할 땐,불개미처럼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모방해 로봇들 사이의 협업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일부 불개미가 돌아가면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모든 불개미가 공평하게 일하는 것보다 약 3배가량 더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연구팀은 로봇 ... ...
[Culture] 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그렇다면 맛도 뇌에 저장될 수 있을까?국제학술지 ‘신경과학 저널’ 2014년 8월 13
일자
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맛에 대한 부정적인 기억은 뇌의 해마와 섬피질에 함께 저장된다. doi:10.1523/JNEUROSCI.0956-14.2014 연구를 주도한 코비 로젠블럼 이스라엘 하이파대 신경생물학과 교수는 논문에서 해마에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분석했다. 또 지붕도 전체가 덮여 있지 않고 십(十)자 모양으로 열려 있었으나 나중에
일자
모양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영화 명량에 등장하는 거북선. 명량해전에 거북선이 쓰이지는 않았지만 영화에서는 건조 중이던 배가 불타는 것으로 나온다. 전후좌우 19개 함포로 무장한 거북선이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국제학술지 ‘프런티어 인 사이콜로지’ 2015년 4월 28
일자
에 발표했다.doi:10.3389/fpsyg.2015.00475연구팀은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 뇌질환을 앓는 환자들에게 악기 연주를 배우게 했을 때 운동과 청각, 언어 능력에 관여하는 대뇌피질과 피질 하부의 신경가소성이 ... ...
Part 5.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신장암 환자 두 명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경과를 국제학술지 ‘종양학 연보’ 2010년 4월 2
일자
에 발표했다.물론 천연물을 이용한 신약이 최종적으로 제품이 되기까지는 임상시험 등 많은 검증 과정을 거쳐야한다. 그런 어려운 과정을 거친 뒤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가 중국의 투유유(屠呦呦)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가장 오래된 해시계는 6~7세기경 제작된 것이다.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와 백제에 ‘
일자
’ ‘일관’이라는 관원이 있다고 나오는데, 시간과 관련된 업무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시계는 조선시대 세종 때 본격적으로 보급됐다. 오목한 형태의 ‘앙부일구’가 가장 널리 쓰였고 그밖에 ... ...
[과학뉴스] 해조류 죽이는 바이러스가 구름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해조류를 죽이는 바이러스가 구름 형성을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이러스로 해조류가 죽으면 해조류의 석회질 껍데기에 있는 ‘코콜리스’ 입자가 대기 ... 수역에서 다음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i사이언스’ 8월 15
일자
에 실렸다.doi: 10.1016/j.isci.2018.07.01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