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데이터
인포메이션
뉴스
자료
보도
information
d라이브러리
"
정보
"(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수 있습니다. (도시침수지도의 경우 아직 일부 지역만 제작된 상태입니다.)홍수위험지도
정보
시스템은 가상시나리오를 토대로 ‘어디가 얼마나 잠길 것인지’ 나타낸 지도입니다. 하지만 ‘어디가 얼마나 피해를 받을지’ 가늠할 땐 침수범위와 규모 외에도 고려할 요소가 많습니다. 2017년 ... ...
[특집] 모기 트랩을 설치하자!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설치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어요. 말레이시아 보건부와 질병관리부에서 관리하는 뎅기열
정보
웹사이트인 ‘아이뎅기’에 따르면 2018년과 2020년에 이 지역에서 뎅기열에 걸린 사례 수를 비교했을 때, 6071건에서 1010건으로 83% 넘게 감소했어요. 그린할 교수는 “앞으로 말레이시아 전역으로 확대해 ...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아이디어를 발휘하기 어려웠습니다. AI는 반복 작업을 덜어주고, 개발자들이 세세한
정보
를 얻기 위해 인터넷에서 검색하지 않아도 되는 개발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깃허브는 코파일럿 베타 버전을 공개했던 기간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75% 이상의 응답자가 반복적인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식물종을 전부 밝히는 거예요. 외래종은 몇이고, 멸종위기종은 몇이고 하는 식물의 분포
정보
를 보고서로 정리하죠. 또 나라에서 관리하는 희귀식물에 등급을 매기기 위한 연구도 합니다. 희귀식물이 사는 곳을 추적해 서식환경을 평가하는 겁니다. 마지막으로는 해발 1300m 이상 아고산지역의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만들기 위한 복사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NA를 그대로 복사한 RNA에는 단백질의
정보
가 암호처럼 저장돼 있습니다. 이를 ‘암호화’라고 합니다. 이 암호를 풀어 단백질을 만듭니다.비암호화 RNA는 암호화되지 않은 RNA입니다.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대신 세포 안에서 조절 역할을 담당합니다. 대부분 ... ...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위잉~! 위잉~!”봄을 맞아 요란한 소리를 내며 날아 다녀야할 벌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초 전국 양봉 농가에서 키우던 벌 약 83억 마리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도대체 벌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벌을 찾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모든 사람에게 편리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소외되지 않는 것도 충분히 고려해야 해요. 하지만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와
정보
를 아직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활용하진 못하고 있어요. 앞으로 디지털 세계는 더욱 커질 텐데, 그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사회에서 소외될 우려가 있지요.따라서 모든 사람이 타인의 도움 없이도 디지털 ... ...
[3교시]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리처드 호시노 캐나다 퀘스트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가와라바야시 겐이치 일본
정보
과학연구소 교수는 일본의 프로야구에서 정규 시즌 동안 어떻게 경기 일정을 짜야 모든 팀의 이동 거리와 이동횟수를 가장 적게 만들 수 있는지를 계산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그래프 문제로 바꿔서 ... ...
[특집] 모스큘라를 피하려면 모기 예보를 보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Q. 모기 연구에 수학이 필요한가요? 모기 예보에 쓰이는 모기 개체 수와 기후, 지리
정보
등은 모두 숫자로 이뤄져 있어요. 이러한 변수들 사이에 연관 관계를 계산하고 모기 개체 수 예측 계산식의 정확도를 검증하려면 수학이 꼭 필요하지요. Q. 모기 예보제의 필요성이 있나요? 우리나라는 아직 ... ...
[과학뉴스] 휴대용 선풍기, 정말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선풍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유해 수준이라는 문제 제기에 과학기술
정보
통신부(과기정통부)가 아니라고 답했다. 8월 1일 과기정통부는 브리핑을 열고 시중에 판매되는 휴대용 선풍기 20종의 전자파 측정 결과 모든 제품이 인체보호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이번 논란은 7월 26일 시민단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