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때와 장소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쏴라!발굴에 적합한 때를 정했다면 그 다음엔 유물이 어디에 묻혀있는지 정확한 지점을 찾아야 해요. 하지만 바닷속에 들어가도 눈으로 유물을 찾기는 어려워요. 유물은 바다에 빠진 뒤 시간이 지나면서 그 위로 흙이 층층이 쌓여 땅 속에 묻히거든요. 그래서 음파와 자기장을 이용한 장비나 금속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이 가중치는 그 선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의미해요.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건너갈 때마다 가중치를 더해서 비용을 계산해요. 가장 적은 비용이 드는 경로가 답이 되는 거지요.재미있게도 최단 거리가 반드시 최소 비용 경로는 아니에요. 예를 들어 섬과 섬을 이을 때 큰 돈을 들여 ...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있는 태안항 근처까지 1시간 정도 빠르게 달렸어요. 그곳이 바로 상괭이 조사가 시작되는 지점이지요. 북쪽 끝 조사점에서부터 배는 지그재그로 천천히 움직이며 남쪽으로 내려왔답니다.“상괭이는 못 보는 건가요?”2시간째 상괭이를 보지 못해 걱정을 하고 있는 기자에게 박정원 박사는 조금 ... ...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간단하게 표시하고, 모든 지점들을 거리 순으로 늘어놓은 표를 만들어요. 그리고 한 지점을 거칠 때마다, 최종 목적지까지 걸리는 거리를 계속 수정하며 가장 가중치가 적은 경로를 찾는 거예요.예를 들어 수호 집과 학교 사이에 공원, 마트, 은행, 한결이 집이 있다고 해 봐요. 그러면 이 네 군데를 ... ...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있어요. 지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바닷물이 더 큰 영향을 받지요. 달이 끌어당기는 지점에서는 바닷물이 달쪽으로 끌려가 솟으면서 밀물이 생기고, 상대적으로 달의 영향을 덜 받는 쪽에서는 바닷물이 줄어들면서 썰물이 만들어져요. 밀물과 썰물은 약 12시간 24분 간격으로 교차되면서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백 번씩 지진이 관측됐다. 마그마가 뚫고 올라오는 화도의 길목으로 추정된다. 지하 5km 지점에 마그마가 액체 상태로 모여 있는 마그마 통로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나, 시추를 해 보지 않고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I 화산 번개화산재 입자들간에 정전기가 일어나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된다.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015년 12월 3일 오후 6시 50분, 박승래 충남 당진소방서 현장지휘팀장은 경기 평택소방서의 연락을 받고 서해대교로 출동했다. 최초 화재 신고가 평 ... 울산)’, ‘시동커패시터에 대한 실험적 분석(전북)’, ‘영상기록 장치를 활용한 발화지점 판정에 관한 연구(강원)’가 장려상을 수상했다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매니저는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더 생생하고 더 진짜같은 경험을 원한다"며 "이 지점에서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 ...
- [과학뉴스] 이제 소리도 홀로그램으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울림이 없는 방에서 소리가 벽을 지나가게 했다. 실험 결과 레고벽에서 약 30cm 떨어진 지점에 알파벳 A의 형태로 음향의 위치가 이동된 것을 확인했다. 커머 교수는 “빛을 원하는 위치에 모으는 홀로그램 기술을 소리에 적용했다”며 “소리의 파동을 더 정확하게 분석하면 음향으로 가상현실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백두산 꼭대기 천지 칼데라 호수에는 약 20억t의 물이 담겨 있다. 그리고 그 지하 약 10km 지점에는 화산 가스를 가득 품은 점성이 큰 규장질 마그마 방이 존재한다. 온도가 1000℃가 넘는 마그마가 폭발하면서 수온이 7℃가량 되는 천지의 물과 만나면 마그마는 급랭하면서 산산조각난다. 마그마에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