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풍부함"(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아노 VS 파이프오르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엄마와 세종문화회관에 갔다가 거대한 파이프들로 벽면을 채우고 있는 피아노를 보았어요. 그런데 엄마 말씀이 피아노가 아니라 파이프오르간이래요. 피아노와 파이프오르간은 어떻게 다른 걸까요? 이종호(서울 서정초 3)피아노건반을 누르면 솜 망치(해머)가 현(줄)을 두드리면서 소리를 내는 악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Q. 그날 밤 유성은 정말 하나였나?이번 유성현상은 수도권뿐 아니라 강원, 충청, 호남, 영남모든 곳에서 관측됐다. 처음에는 ‘유성우’라는 표현이 나왔다. 그래서 진주에서 발견된 돌이 운석으로 판명되었을 때, 유성을 목격한 장소마다 운석이 있지 않을까 하는 오해가 생겨났다. 실제로 전국 각 ... ...
- 남극을 호령할 장보고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2014년 2월 12일 남극으로부터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요. 우리나라의 두 번째 남극기지인 장보고과학기지가 준공됐다는 소식이에요. 1988년 2월 17일 킹조지 섬에 세종과학기지를 세운 지 20여 년만의 일이죠. 이로써 우리는 세계에서 10번째로 남극에 월동기지를 두 개 이상 운영하는 나라가 됐어요. 그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백악기 초. 날씨는 따뜻하고 온화하다. 식물계는 조금 삭막하다. 초식동물의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저마다 무기를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소나무는 잎을 늘 뾰족하게 세운다. 은행 냄새가 지독한 건 온 동네가 다 알고 있다. 양치식물은 독한 화학물질을 많이 만들어낸다.그런데 언젠가, 그 ... ...
- 물의 행성 지구, 수원지는 ‘맨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창백한 푸른 점’은 바다와 생명의 행성 지구를 가리키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하지만 지구가 물의 행성인 진정한 이유는 바다가 아니라 수백km 지하에 있는 맨틀 속 ‘물탱크’에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캐나다 앨버타대 그레이엄 피어슨 박사팀은 지하 410~660km 깊이의 맨틀층에서 만들어진 암석을 ... ...
- 고대어류 ‘틱타알릭’, 물속에서 이미 ‘뒷다리’ 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안녕? 지구를 정복하려고 정글로 겨울여행을 떠나고 있는 닥터 그랜마예요. 갑자기 웬 정글탐험이냐고요? 사람들은 너무 똑똑해서 제 말을 잘 듣지 않더군요. 그래서 동물과 식물을 먼저 부하로 삼기로 결심했어요. 우하하!그런데 엄청나게 궁금한 점이 생겼어요. 생물은 땅에서 먼저 태어났을까 ... ...
- 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올해 6월 준공 예정인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리장(방폐장)에는 사용후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폐기물이 아닌 원전 내에서 사용된 부품, 작업복 등 중저준위폐기물을 보관한다. 중저준위 방폐장은 핵종들의 반감기를 고려해 최소 300년에서 최대 1000년까지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하지만 인간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운석 충돌 후 새로운 식물이 많이 자라기 시작했다. 주로 고사리 같이 생기고 매우 질긴 식물들이었다. 옛날의 꽃식물에 비해 영양가가 부족한데다가 추울 때는 시들어서 초식공룡 수가 먼저 줄었다. 육식공룡도 같이 고전했지만 차츰 적응해 나갔다. 식성을 바꾼 것이다.다행히 육식공룡의 강한 이 ... ...
- INTRO. 핵쓰레기 더이상 버릴 곳이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겨울. 모두 뜨거운 벽난로 주변에 모여 몸을 녹인다. 다 탄 숯덩이를 꺼내 바구니에 넣고, 새 땔감을 넣는다. 다시 시간이 지나 새로운 숯덩이를 빼내고, 새 땔감을 넣는다. 바구니에는 아직도 열기가 남은 숯덩이가 가득이다. 뜨거운 숯덩이는 아무데나 버릴 수 없다. 불이 나지 않도록 깊은 구덩이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까치가 우리 생활과 가까운 새가 된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오죽하면 “까치 까치 설날은…” 이라며 명절을 노래할 때도 등장할까.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볼 수 있는 가장 친근한 새지만,똑똑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조류계의 영장류’라는 사실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다.너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