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뇌영상 분석 기술 덕분이었다.아직은 현실이 아니지만 이런 일이 곧 가능해질 것이다.
필자
는 강의 시간에 “치매는 인간에게 가장 잔인한 질병”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 치매에 걸리면 ‘나’를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치매에 걸려 ‘나’를 잃어가는 과정을 지켜볼 수밖에 없다는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것으로 여겨졌다. 이 귀중한 말은 현재 몽골의 산악지역에서만 드물게 볼 수 있다.
필자
는 고비사막으로 몽골공룡탐사를 가던 중 우연히 이 말을 봤다. 그때 5500만 년에 걸쳐 다양하게 진화했던 ‘야생마’의 마지막 후손을 보고 있다는 벅찬 감동을 받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계속해서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공대를 기피하는 학생들이 추후에는
필자
보다 훨씬 더 좋은 여건 속에서 공대 공부에 전념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발견됐다고 하늘이 연두색이 되는 것도 아니고, 인류의 기근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필자
의 대답은 이렇다. 우리는 물리학을 통해 인류의 지적 능력의 한계가 어디인지 탐구한다. 힉스 입자를 발견하면서 지적 능력의 정수인 표준모형이 완성됐다. 이제 인류의 지적 능력은 우주가 어떻게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밖에 없다.동영상에 나왔던 장면으로 동영상 원본을 찾을 수 있다면 어떨까?
필자
가 속한 벤처기업 엔써즈가 동영상 검색 기술을 개발한 것도 바로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다.동영상으로 동영상을 찾는다? 한양에서 김서방 찾기동영상 자체로 원본 동영상을 찾으려면 우선 인터넷에 있는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그림과 거의 비슷한 것이 천전리 바위그림에 보인다(‘새한국사’ 50쪽에 있다). 이것이
필자
가 대곡리, 천전리 바위그림을 외계충격설과 관련짓는 단서가 됐다. 기원전 3000년 경 울산 사람들은 하늘에서 외계충격 현상이 일어난 가운데 굉음과 섬광에 떨면서 눈앞에 벌어진 광경들을 그림으로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급증하고 있다. 결국 이 모든 걸 고려하면 당도 술처럼 규제가 필요한 품목이라는 게
필자
들의 주장이다.그 상징적인 조치로 당류 가운데 하나인 과당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 물질(GRAS)’ 목록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것. 이 목록에 들어있는 원료는 양에 구애 받지 않고 쓸 수 있다.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없앤다. 그런데 이 효소가 억제되면 위 점막보호물질도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필자
처럼 민감한 사람은 속이 쓰리기 쉽다.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 같은 질환이 있는 사람이 먹는다면 문제는 더 커질 수 있다.진통제 식사 전에 먹어도 된다시중에서 판매하는 진통제는 특정 부위의 통증을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협력 연구와 의사소통 경험은 문과와 이과의 융합이 필요한 현대에 매우 중요하다.
필자
가 조교수로 재직 중인 가톨릭대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는 물론이고, 사회에서 만나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협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다.작은 성공을 꿈꾼다면, 남들이 가는 길을 따라가면서 남들보다 더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년이니, 우리는 우주의 나이 불과 7억 년인 시점에 존재했던 퀘이사 모습을 보는 것이다.
필자
가 이끄는 초기우주천체연구단 연구진도 멀리 있는 퀘이사들을 발견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먼 곳에서 발견된 것은 128억 광년 떨어진, 즉 우주의 나이 약 9억 년에 불과할 때 있었던 퀘이사이다. 한편 서울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