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퍼즐 맞추기, AI가 대신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존 몰트 교수는 아미노산 서열만으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
대회(CASP)’를 열었어요. 구조 예측을 좀 더 잘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였죠. 이 대회에는 실험실에서 이미 구조가 밝혀졌지만, 아직 그 결과가 공개되지 않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100여 개가 문제로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박쥐는 옮기고 닭은 안 옮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세포 표면 단백질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의 결합력이 강하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
학술
지 ‘플로스 계산생물학’ 지난해 12월 3일자에 발표했다. 종간 전염은 어떤 종에 감염돼 있던 바이러스가 다른 종의 숙주를 감염시키는 현상이다. 바이러스 감염의 첫 번째 단계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 ...
[과학뉴스] 광학 집게로 원자 집어 시간 알려주는 ‘집게 시계’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스트론튬 원자의 주파수를 관측해 시간을 측정하는 원자시계를 만들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지난해 12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스트론튬 원자를 배치하고 레이저를 쐈다. 이렇게 하면 150개 원자가 레이저에 집혀 올라간다. 이어 모인 스트론튬 원자에 기존 레이저 빛과 수직인 또 다른 ... ...
[과학뉴스] 브레이크댄스 추는 문어 로봇은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노스웨스턴대 화학과 교수팀은 문어처럼 생긴 네 발 달린 소프트 로봇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지난해 12월 9일자에 발표했다. 약 1cm 크기의 이 로봇은 복잡한 구조의 장치나 유압장치, 전기 부품 없이 빛과 외부 자기장의 힘으로 움직인다. 로봇 외부는 하이드로겔로 덮여 있다.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성능을 갖춘 AI들이 속속 등장할 것이다.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CASP14
학술
대회에서 “향후 디지털 가상 세포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과학소설(SF) 같은 일이 진짜로 실현될 날을 기대해 본다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교수팀은 단일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로 구성한 테라헤르츠 송수신기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포토닉스’에 발표했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P형과 N형 접합으로 된 일반 다이오드와 달리 금속과 실리콘을 접합해 구성한다. 전자나 정공 중 한 가지만을 이용해 전파를 수송하기 때문에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장애물과 충돌할 때 접히면서 충격을 완화하는 특징을 초소형 비행체에 적용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지난해 12월 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d3285장수풍뎅이는 곤충 중에서 유일하게 비행할 때 뒷날개를 펼치고 육상 또는 수중에 있을 때는 뒷날개를 접는 습성을 보인다. 접을 수 있는 ... ...
[수학뉴스] 어려운 의견 모으기, 수학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의사결정에도 적용할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정보과학’ 2021년 2월 8일자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나인이 존재한다면 이와 같은 공전궤도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천문학 저널’ 지난해 12월 10일자에 실렸다. doi: 10.3847/1538-3881/abc01 ... ...
[과학뉴스] 주식은 풀, 간식은 고기? 뇌로 밝힌 테코돈토사우루스 생활사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작은 공룡의 생활사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 놀랍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린네학회 동물학저널’ 지난해 12월 14일자에 실렸다. doi: 10.1093/zoolinnean/zlaa15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