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복"(으)로 총 1,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죽을 때까지 물리를 할 팔자죠.”풀리지 않는 질문이 있으니 지치지 않아 좋다며 웃었다. 행복한 웃음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Part 3 '코리아늄' ...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이도파민이 중뇌의 복측피개영역과 전뇌의 내측전전두엽, 중격측좌핵 등을 자극할 때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자연적으로 분비되는 도파민과 다르게 중독물질은 뇌의 측핵을 자극해 강제로 도파민을 만들게 한다. 이 때문에 중독 물질을 처음 접했을 때 ‘기분이 좋다’라고 느낀다. 문제는 강제로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만화가가 되면 밥은 먹고 살 수 있겠냐는 반대도 많았지만 제가 좋아하는 것이고, 하면 행복한 것이기 때문에 악착같이 할 수 있었고 결국 만화가가 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어린이에게 만화는 상상력을 폭발시킬 수 있고, 이게 뭘까? 하고 탐구하고 싶은 질문이 스스로 생기게 하는 좋은 매개체라고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디자인을 하고 싶어요.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디자이너가 된다는 것은 굉장히 행복한 일이에요. 훌륭한 디자이너가 되려면 우선 자기만의 색깔과 철학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지요. 또 꼭 디자인 분야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경험은 많은 도움이 돼요. 경험이 많은 만큼 다양한 분야를 디자인할 ... ...
- MIN TALK9 금사빠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너 금사빠 아냐?”“아니야. 그냥 그녀가 내 스타일이라서 그러는 거야.”“에이, 아닌 것 같은데. 저번에도 ○○ 보자마자 내 스타일이라면서 정 ... 자신이 금사빠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성을 ‘진솔하게’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은 행복한 일입니다. 결과가 비록 아플지라도 말입니다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싶은지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게 목표일 수도 있습니다. 그냥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싶다고 하면 그렇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정말 하고 싶은 게 뭔지 찾아야 하는 것입니다. 다만 앞으로 무엇을 하고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없는 학생들이 있는데 이런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연구를 어떻게 이끌어가야겠구나 하는 생각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 과정 자체가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릅니다. 아까 인생 최종목표의 어느 정도 도달했느냐고 물으셨지요? 이제 제대로 한 걸음 뗄 수 있는 준비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연구자에게는 땀과 정직함이 자산이 교수는 “연구자가 아니라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안녕하세요? 저는 인기 연재만화 ‘SOS! 애니몽’의 주인공, ‘안몽’이랍니다. 스포이트 박사와 크로스 연구소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오늘도 무척 바쁘지만…. 사람 대표 ‘ ... 느껴질 거예요. 그리고 동물과 공존하며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겠죠? 그러면 사람도 더 행복해질 거예요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 힉스 입자의 발견은 이론의 완성이나, 험난하고 지난한 탐험 끝에 찾아온 안락하고 행복한 만족감과 거리가 멀다. 어쩌면 새로운 파괴일지도 모른다. 그래도 물리학자들은 탐색과 상상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힉스 입자는 발견됐지만, 제2, 제3의 힉스 입자가 존재할지도 모르기에.▼관련기사를 ...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 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소설의 이론)별이 보이지 않는 시대다 보니, 별을 보며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찾고 영감을 얻던 시대가 언제였는지 까마득하다. 별과 우주에 대해 과거 어느 때보다 잘 알고 있는 과학의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