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디자인"(으)로 총 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땡땡의 모험 속으로기사 l20190223
- 김민준 기자입니다. 2019년 2월 17일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서울 서초구)에서 열린 에르제:땡땡전에 다녀왔습니다. 올해는 벨기에 만화가 에르제(Hergé)의 '땡땡의 모험' 발표 90주년으로 작년 파리 퐁피두 센터를 시작하여 그랑 팔레, 런던의 소머셋 하우스, 덴마크를 거쳐 아시아 최초, 최대 규모로 오리지널 드로잉, 회화, 사진, ...
- 물병을 먹는다!???포스팅 l20190209
- 00)개 정도 되는데 그중 10%만 재활용이 되고, 90%는 매립되어요. 그래서 2014년 영국 런던에 있는 스페인 출신 3명의 왕립 예술학교 산업 디자인과 학생들은 포장방법 연구중 오호를 개발했어요. 여러분도 만들어 보세요 이상입니다 ... ...
- (반짝반짝 소개터)옷 디자인포스팅 l20190130
- 옷을 디자인 해봤어요! ...
- 우리나라의 바다를 지켜온 역사를 볼 수 있는 '서울함 공원'을 다녀와서기사 l20190130
- 해군 모자인데 좀 특이하게 생겼죠? 배위에 바람이 많이 불어서 뒷주머니나 보관하기 쉽고, 배에 물이 들어왔을 때 물을 퍼낼수 있게 디자인 되었다고 합니다. 또 기억에 남는 재미있는 이야기는 배가 지나가면 뿌~~~~하고기적을 울리는데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기적을 한번 울리면 오른쪽으로 간다는 신호 기적을 두번 울리면 왼쪽으로 간다는 신 ...
- BMW 드라이빙센터, 주니어 캠퍼스에 가다기사 l20190106
- 많지는 않아도 직접 타볼 수 있어서 지루할 틈이 없었어요. 그리고, 핸들로 자동차를 조종하는 AR게임과 자동차를 색칠하고 디자인해서 화면에 띄우는 곳도 있어요. 2층에는 초등학생들이 체험하는 주니어 캠퍼스가 있어요. 저는 자동차의 원리 체험과 친환경 자동차 만들기 두 가지 수업을 모두 듣고 싶어서 신청했어요. 첫 번째 수업은 여러 가지 장치를 ...
- 대형크리스마스 트리가 빛공해 라구요?기사 l20181223
-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빛이 새어 나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국민 모두가 지구를 아끼는 마음으로 필요한 곳에만 빛이 가도록 조명의 디자인을 바꾸고, 필요한 만큼만 비추도록 조도를 낮추는 등 빛공해 방지를 위해 노력한다면 빛 공해도 막고, 에너지 소비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 ...
- 서울에 있는 서울대, 경희대를 다녀와서기사 l20181104
- 한 거대한 건물이 나올 것입니다. 이 건물은 큰 역사가 있는데요, 사우디아라비아가 전쟁 중 대통령이 경희대에 자신의 나라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건물을 세워달라 라는 말과 큰 돈을 주는데, 사우디아라비아의 전쟁이 끝나고 대통령이 건물이 잘 세워졌나 보려고 가는 순간에 우리나라가 전쟁이 일어나 건물을 못 세웠다는 말이 있는데, 이 건물은 다행이 ...
- 프랑스 파리 여행기사 l20181024
- 건축학적 측면에서 많은 반대를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후에는 철로 대표되는 산업사회가 찾아왔음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 디자인으로 파리의 대표적인 명물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991년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2. 개선문 나폴레옹 1세가 군대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파리의 에투알 개선문. 높이 51m, 너비 45m로 ...
- 자동으로 물을 주는 스마트 화분이 있다?!기사 l20181003
- 하겠습니다. 아두이노는 2005년 이탈리아의 IDII(Interaction Design Institutelvera)에서 하드웨어에 익숙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려고 고안됬습니다. 이 아두이노는 비전공자들이 조금 더 쉽게 코딩을 하기위하여 발명이 되어 비전공자들은 위한 보입니다. 또한 아두이노는 우리 인 ...
- 더러운 물이 깨끗한물로 슝! 만들어지는 솔라볼을 아시나요?기사 l20180921
- 솔라볼은 신기하게도 햇빛만 있으면 되고 하루에 3리터까지 깨끗한 물을 걸러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걸만든 대학생은 '자신이 만든 디자인으로 캄보디아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생각'에서 비롯 되었다고 합니다 한 대학생의 작은 아이디어로 캄보디아의 수많은 사람들이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것도 평범한 공모양 통으로 말이죠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