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아공
공화국
남아프리카
뉴스
"
남아프리카공화국
"(으)로 총 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성과는…‘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2015.12.18
떨어진 소행성 ‘2014MU69’를 향해 우주를 가로지르며 계속 태양계의 비밀을 쫓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새 인류 화석인 ‘호모 날레디(Homo Naledi)’도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제 공동 연구진은 1550여 개의 뼛조각을 통해 호모 날레디가 약 300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로 ... ...
지구 밖에서 들려온 정체 불명의 ‘굉음’ 비밀 풀릴까
2015.12.03
처음 발견된 뒤 지금까지 총 16 차례 관측됐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대 연구진이 개발한 데이터마이닝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해 기존에 관측된 전파 데이터를 대량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전파 데이터 중에서 이미 알려진 FRB의 특성과 일치하는 특정 ... ...
우리 기술로 남아공서 방사선 오염 정확히 알아낸다
2015.11.18
선진국과의 경쟁을 뚫고 첫 해외 수출 기회를 얻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남아프리카공화국
표준기관(NMISA)과 30만 달러(약 3억5100만 원) 규모의 입자방출률 측정표준기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입자방출률 측정표준기는 방사성 물질이 방출하는 방사선의 세기를 정확하게 ... ...
“와이파이도, GPS도 기초 과학 결과물”
2015.10.21
눈이 될 전파망원경 건립 사업은 2018년 공식적으로 첫 삽을 뜰 예정이다.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3개국에 나눠 들어선다. 다이아몬드 단장은 “스카 프로젝트는 최고 감도의 전파수신기 수천 개를 달아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우주의 과거로 향하듯 은하계 생성 당시 우주의 생김새와 ... ...
300만 년 전 살았던 새 인류, ‘호모 날레디’
2015.10.07
남아프리카공화국
의 한 동굴에서 1550여 개의 뼈 조각이 발견되면서 새 인류 ‘호모 날레디’의 존재가 확인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 미국 등 국제연구진은 지난달 호모 날레디의 존재를 공식 발표하며 호모 날레디는 고릴라만 한 뇌를 가지고 직립보행을 하며 약 300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인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09.27
초기 호모 속 후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터스란트대 인류학과 리 버거 교수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북서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라이징스타(떠오르는 별이라는 뜻) 동굴에서 2013년 발굴한 새로운 인류 화석을 연구한 뒤, 이들이 초기 호모 속일 가능성이 있다고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새로운 종의 호모속 인류 ‘호모 날레디(Homo naledi)’에 관한 내용이다. 날레디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의 세소토어로 별이라는 뜻이다. 굳이 번역하자면 ‘별의 인간’인 셈이다.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대의 고인류학자 리 버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발표한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디지털 도구 활용해 새로운 스토리 발굴해야”
과학동아
l
2015.06.11
자유기고가 만디 스몰호른, 나이트국제저널리즘스쿨의 레이몬드 조셉 교수,
남아프리카공화국
로드대 보건저널리즘센터 해리 더그모어 교수가 참석해 각자의 경험을 공유했다 ... ...
24시간 외계행성 찾는 ‘3개의 눈’ 완공
2015.04.24
탐색할 광학망원경을 짓는 ‘외계행성탐사시스템(KMTNet)’을 진행해왔다.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 호주 등 3개국에 망원경을 1기씩 건설해 24시간 릴레이로 쉬지 않고 우주를 관측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9월 칠레 북부 토롤로 산에는 지름 1.6m 거울과 3억4000만 화소 카메라가 달린 KMTNet 1호 ... ...
[한미 원자력협정 타결]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의료 안정화·수출 효과 1석 2조
2015.04.23
요오드(I)-131이나 몰리브덴-99같은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일부 생산하고 있지만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1차로 생산한 동위원소를 가져와 일부 성분을 조정해 사용하는 식이었다. 이 밖에 부족한 물량은 캐나다 등 해외에서 수입해왔다. 국내 의료용 동위원소는 사실상 전량을 수입에 의존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