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뉴스
"
물체
"(으)로 총 1,63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팽이 알 잡고 부화시켜 심박수 잰다… 생명체와 교감하는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14
없이 잡아 미세 생체 신호를 측정한 최초의 사례다. 한승용 교수는 "기존 그리퍼는
물체
의 반응만을 측정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측정과 동시에 자극도 줄 수 있다"며 "향후 의료 분야에서 진단과 치료 동안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게 약물 전달과 무선동작 등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붓글씨 쓰고 백신 접종까지...문어 다리 닮은 만능 그리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송 선임연구원은 “사물을 파지한 후 그리퍼의 외곽 구조가 딱딱하게 굳어지면서
물체
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파지한 사물로 다양한 일상 작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흡착형 그리퍼는 일상생활 속 사물을 집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도 제공했다. 연구팀은 그리퍼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전해질로 활용했다. 킬레이트는 집게처럼 생긴 구조를 지닌 분자로 집게 끝부분으로
물체
를 잡듯 금속이온과 결합하는 화합물이다. 킬레이트가 강력하게 양이온과 상호작용하면서 전자를 쉽게 방출하게 해 배터리의 전하 이동속도를 크게 높였다. 그러면서도 음극 소재와는 반응하지 않아 계속된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반사하지 않고 완벽하게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체
이다. 현실에서 이상적인 흑체에 가까운
물체
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커다란 빈 통에 조그만 구멍을 하나 뚫는 것이다. 커피 텀블러의 뚜껑에 조그맣게 공기구멍이 뚫려 있는 상황을 떠올리면 된다. 이런 구조의 통에서는 외부에서 빛이 ... ...
국산 우주발사체 '누리호' 10월 21일 오후 4시 하늘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9
것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태양광 입사각과 이미 진입궤도를 도는 위성이나 우주
물체
의 충돌 가능성 등이 있는지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발사시간대를 발사 윈도(론치 윈도)로 부른다. 위원회는 혹시 모를 돌발 상황에 대비해 발사 예비일은 10월 22일~28일 사이로 설정했다. 권 정책관은 "당일 오전 ... ...
캔위성 경연대회서 최우수상에 충북과학고·충남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충북과학고 캣닢팀에 돌아갔다. 캣닢팀은 캔위성이 낙하하면서 촬영한 영상을 활용하여
물체
간 거리를 측정하고 캔위성 예상 착륙 위치를 제시하는 ‘영상기반 고도측정과 낙하예측’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창작부 최우수상은 여러 대의 카메라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는 기술로 영상을 ... ...
메타버스 세계의 열기 느끼고 진동도 감지하는 장갑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갑은 VR 환경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가상의
물체
에서 발생하는 열과 진동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개발 장갑은 또 5개 손가락의 10개 관절 각도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VR 화면에 즉석에서 ... ...
[프리미엄 리포트]고체발사체는 민간 우주개발 도약 시발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지침에 따라 고체엔진 총추력 제한인 초당 100만파운드로 개발 사양을 맞췄다. 이는 500kg
물체
를 300km 이상 운반할 때 필요한 힘이다. 고체엔진 우주발사체와 액체엔진 우주발사체를 조합하는 혼합형 발사체는 여러 국가의 우주발사체에 활용되고 있다. 1단과 3단은 고체엔진, 2단과 4단은 액체엔진을 ... ...
'첫 외계 천체' 오무아무아는 외계 지성체가 만든 것일까
연합뉴스
l
2021.09.24
구상하고 추진한 바 있다. 로브 교수와 달리 여러 천문학자는 오무아무아는 가공된
물체
가 아니라 자연적 산물이라는 논문들을 내놓고 있다. 저자는 "사실 몇몇 과학자들은 내 가설이 유행에 맞지 않고 주류 과학을 벗어났으며 심지어 위험할 정도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 ...
한국 달궤도선에 NASA ‘섀도캠’ 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달이 생성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달에는 지구와 달리 대기가 없어 움직이는
물체
의 속도를 늦추는 공기저항도 없다. 달 생성을 설명하는 다른 이론도 있다. 지구 중력으로 포획된 소행성과 같은 떠돌이 천체가 달이 됐을 것이라는 포획 가설이다. 이 이론은 달이 태양계의 다른 곳에서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