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뉴스
"
분리도
"(으)로 총 2,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작용 없는 의약품 단초 제시...소리로 '키랄성' 물질 분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16
소리를 이용한 키랄성 분자들의 공간적 분리. IBS 제공. 쌍둥이처럼 자연계 많은 분자들도 쌍둥이 분자가 있다. 이들은 서로 완전히 다른 성질을 가지기도 한다. 용액 안에서도 늘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따로 분리하기 어렵다는 게 정설이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기문 복잡계자기조립연구 ... ...
국내 3번째 원숭이두창 환자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5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분리주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질병관리청 제공 국내 3번째 원숭이두창 환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15일 국내 3번째 원숭이두창 확진 환자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확진자는 이달 4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입국한 내국인이다. 지난 8일 발열과 발한, 어지러움 등의 ... ...
‘들쑥날쑥’ 태양광·풍력 ‘출력제한’ 해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5
전남 영광군 백수읍 영광풍력 발전단지의 풍력발전기들이 길게 늘어서 있다. 연합뉴스 제공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단점은 변동성이다. 들쑥날쑥한 환경 조건 영향 때문에 안정적이고 꾸준한 전력 공급이 어렵다. 예를 들어 2020년 기준 제주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16.2%에 달 ... ...
산업 폐가스를 화학 원료로 만드는 효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산업 현장에서 나오는 폐 가스를 화학 원료로 만드는 효소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용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와 이형호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일산화탄소 전환효소에 단백질 설계기술을 적용, 철강 산업 폐 가스를 화학 원료 ... ...
환경적 변수 통제된 '실험실' 꿀벌 50년 새 수명 반토막
연합뉴스
l
2022.11.15
환경적 변수 통제된 '실험실' 꿀벌 50년 새 수명 반토막 美양봉업계 봉군 감소·꿀 생산량 저하와 일치 "유전자 때문일 수도"…장수꿀벌 개발에 열쇠 나오나 [Anthony Nearman / UMD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농약이나 기생충, 질병 등의 환경적 변수가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 자란 꿀벌의 ... ...
유인 달 탐사 본격화할까...역대급 우주발사체 'SLS' 16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 39B 발사대로 옮겨진 SLS. 미국항공우죽(NASA) 제공 인류 역사상 최강 우주발사체인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이 16일 오전 1시 4분(한국시간 16일 오후 3시 4분) 발사 재도전에 나선다. SLS는 당초 지난 8월 말 첫 발사를 시도했지만 기술적 문제와 ... ...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 크기 기체분자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이종석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0.02nm(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기체 분자를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석유화학공정에 적용돼 에너지 소모량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한국이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 효율읠 개선한 이태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연구팀. 이태우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발광 소재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의 한계를 극복한 발광 소자를 개발했다. 상용화된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 중 하나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보다 밝고 풍부한 색감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나는 유전자 조작 식품이 싫어.” 유전자를 조작해 식재료의 형질을 바꿔 놓은 음식에 혐오감을 느끼는 분들이 있다. 그런데 유전자를 조작한 음식을 전혀 먹지 않고 현시대를 살아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만큼 유전자 조작 식품이 우리 사회에 널러 퍼져있기 때문 ... ...
심정지 후 '죽음의 문턱'에서 사람들은 죽음을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미국 뉴욕 그로스만 의대 연구팀은 심장마비 후 심폐소생술을 받고 살아난 환자들로부터 독특한 뇌파 변화가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심장마비를 일으킨 후 심폐소생술(CPR)을 받고 살아난 환자 중 일부는 ‘죽음의 문턱에 있는 경험’을 인지했다는 연구 결과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