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언
말실수
뉴스
"
실어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무대로...마침내 모습 드러낸 5세대 이동통신
2018.02.16
가장 좋은 무대가 될 겁니다. 고성능 컴퓨팅 기술과 막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실어
나를 수 있는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다시 1218대의 드론 이야기로 돌아가볼까요? 이 드론 쇼는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인텔의 기술로 만들어졌습니다. 100대로 시작한 인텔의 드론 쇼는 300대와 500대를 넘어 120 ... ...
민간 최초 심(深)우주 탐사용 로켓 ‘팰컨 헤비’ 발사 성공…1단 로켓 3기 중 2기 회수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보통 로켓의 발사 성능을 시험할 때는 위성 모형이나 고철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실어
보내지만, 머스크가 팰컨헤비로 자신의 차를 쏘아 올리면서 더 큰 화제를 모았다. 2단 로켓의 추진력으로 우주인 마네킹 ‘스타맨(Starman)’을 태운 전기차는 지구궤도를 빠져나가는 중이다. 지상 700 ... ...
일론 머스크가 타던 테슬라 전기차, 7일 ‘팰컨헤비’ 로켓 타고 화성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6
틀은 팰컨9과 같다. 팰컨9는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거나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화물을
실어
나르는 등 가벼운 물체의 운송에 주로 쓰이는 반면, 팰컨헤비는 화성까지 최대 16.8t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유인 우주선을 보내는 데도 충분한 규모다. 스페이스X는 팰컨헤비의 회당 발사비용을 9000만 ... ...
한국형발사체 2021년 발사, 달탐사 일정도 순연…과기정통부 “개발 일정 현실화”(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02.05
우주발사체 ‘팰컨9’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 탑재체를
실어
주고 NASA로부터 심(深)우주 항법 기술을 지원 받는다. 독자적으로 진행하는 2단계 달 탐사 사업(달 착륙선)은 2021년 두 차례에 걸친 한국형발사체 본발사를 통해 우주발사체 기술의 안정성이 확보될 경우 203 ... ...
공기 중에 360도 전방향 홀로그램을 구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루크 스카이워커에게 전한다. 홀로그램은 영상과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한 뒤 빛에
실어
허공에 띄우는 기술이다. 영화에서나 보던 홀로그램 기술이 현실로 바싹 다가왔다. 기존과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없어도 공기층 위에 바로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360도 전 ... ...
[NASA화보] SpaceX의 우주화물선 드래곤, 3일간의 도킹일지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플로리다주 대서양 인근 케이프 커네버럴(Cape Canaveral Air Force Station)에서 팔콘9 로켓에
실어
드래곤을 쏘아올렸다. NASA 제공 팔콘 시리즈 로켓은 엘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세운 우주항공기업 스페이스X가 개발한 재사용 가능 로켓이다. 드래곤 우주선은 플로리다에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 ... ...
AI 확산 막을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20
질병 자료와 농가 분포 자료, 철새의 이동까지도 고려합니다. 4. 축산 차량 관리 가축을
실어
나르는 축산 차량은 동물 전염병 감염의 주요 매개체가 될 수 있습니다. 축산 차량의 이동 관리와 차단 방역 분야는 ‘세스코 기술연구소’가 맡았습니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축산 차량에는 이미 GPS가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마흔살 게놈 해독 기술의 숨가쁜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과학 분야에서 ‘혁신’이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 준 시간이었다. 1950년대에 유전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본 단위가 DNA 분자라는 사실이 밝혀진 뒤 그 정보를 읽어 생명의 ‘설계도’를 손에 넣으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구체적인 성과는 1970년대에 나타났다. DNA를 직접 읽는 대신 짝을 이루는 DNA를 ... ...
세계 최초 동물 우주비행사 ‘라이카’ 60주기
동아사이언스
l
2017.11.03
밝혔다. 이들은 쥐의 초기 수정란 6000여 개를 중국의 첫 과학실험위성 ‘스젠 10호’에
실어
우주로 보냈다. 연구진은 4시간 간격으로 수정란의 변화를 살폈고, 위성 발사 전 2세포 단계였던 수정란 중 일부가 세포 분열을 거쳐 80시간 뒤 배반포로 성장했음을 확인했다. 배반포는 자궁에 착상되는 시기 ... ...
박테리아와 자석 입자로 나노 변신 로봇 개발... 고성능 약물 전달체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나노 변신 로봇’이 한국인 로봇 공학자에 의해 개발됐다. 몸 속 구석구석에 약물을
실어
공급하는 차세대 약물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김민준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 기계공학과 석좌교수는 박테리아가 물 속에서 헤엄칠 때 이용하는 추진 기관인 ‘편모’를 분리, 정제해 여기에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