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체
용체
물
처리액
조제액
물약
용제
뉴스
"
용액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덜 들여 바닷물을 민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통해 넘어와 유도
용액
과 섞이게 되면 이번에는 이
용액
에 압력을 가해 담수와 유도
용액
을 분리하는 역삼투 공정을 진행한다. 이렇게 얻어진 담수는 별도로 보관하고 유도용질은 다시 처음 공정단계로 이동시켜 재활용하게 된다. 역삼투 공정만으로 담수를 얻을 경우 담수 1톤당 최대 10kWh의 ... ...
유리에도 전기가 흐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투과되는데, 산화실리콘 막에서도 막 안의 양성자가 이동했던 것. 이 양성자와 산성 수
용액
에서 들어온 수소이온을 매개로 해서 실리콘 웨이퍼의 전자가 튀어나와 막을 타고 흘러 부도체인 산화실리콘이 도체의 성질을 띠게 되는 원리다. 정 교수는 “산화실리콘은 흔히 ‘석영’이라 불리는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동아일보
l
2013.10.21
크기가 작은 만큼 구조가 바뀌거나 공간 안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이에 따라
용액
상에서 진행되는 화학 및 생물학적 반응을 관찰하려면 초고속 레이저를 활용해야 한다. 이는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매 순간마다 연속으로 포착하기 위해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 ...
생체물질 모방 탄소나노
용액
으로 미래전극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5
탄소나노소재 고농도 분산기술을 세계최초로 개발한 KERI 이건웅·한중탁 박사 - KERI 제공 1990년대부터 2000년도 초반 그래핀이 나오기 이전에 탄소나노소재는 가장 유망한 미래 소재기술 중 하나로 꼽혔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관련 연구는 물론 산업화의 움직임도 보이지 않는다. 문제는 분 ... ...
새로운 컴퓨터 세계를 여는 DNA
동아사이언스
l
2013.10.04
매우 작은 접시를 준비한 후 여기에 박테리아에서 추출한 DNA 가닥을 올렸다. 이를 구리염
용액
에 담가 구리 이온이 DNA에 흡수되도록 했다. 여기에 열을 가하고 탄소 원자가 있는 메탄가스에 노출시키자 DNA와 메탄에 있는 탄소 원자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화학 반응이 일어났다. 이렇게 떨어져 ... ...
은나노선만 있으면 태양전지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박사 제공 특히 이번 기술은 유리를 한쪽방향으로 돌린 상태에서 은나노와이어
용액
을 중심에 떨어뜨려 원심력에 의해 고루 퍼지며 코팅시키는 ‘스핀코팅’ 방식이다. 이 위에 고분자 전도성 물질로 은 나노와이어 전극과 광 흡수층 사이의 공간을 메워 에너지 효율을 높혔다. 은 ... ...
펜으로 그리기만 하면 트랜지스터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13.08.28
관 내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용액
이 가느다란 관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 연구진은
용액
이 일정한 속도와 부피로 이동하는 특성을 인쇄 장치의 노즐에 적용해 정교한 분출을 가능하게 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의 전자소자 프린팅 방식인 '잉크젯 프린팅' 기술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 ...
'은나노' 좋아하다간 '큰 코 다쳐'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입자가 농산물에 얼마나 침투할 수 있는지 분석했다. 우선 은나노 입자를 포함한 농약
용액
에 배를 담근 후 깨끗이 반복해서 닦았다. 실험 4일 뒤 배껍질과 과육에서 은나노 입자가 발견되는지 살폈다. 분석 결과 배껍질과 과육 모두에서 은나노 입자가 발견됐다. 은나노입자가 세척으로도 ... ...
한 지붕 두 가족? 한 플라스크 두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파란색 결정이, 바닥에서는 주황색 결정이 생겼는데, 몰리브덴 복합체는 보라색
용액
이나 파란색 결정, 주황색 결정으로 형태를 자유자재로 바꾼다"며 "피아노 의자 다리 중 하나가 다른 다리보다 길었는데, 이 다리에서 분자내 아고스틱 결합을 이루는 위치가 각각 달라 결정이 파란색과 ... ...
2100년 전 고대문명을 되살린 중국 발굴단의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8.04
미라에는 피부에는 시체에 생기는 검은 반점인 시반 하나 없다. 보존을 위해 포르말린
용액
에 넣어 두다 보니 젖은 피부가 밀려 올라가 입술 언저리가 조금 부풀어 올랐을 뿐 어느 한 곳도 썩지 않고 보관돼 있어, 미라가 아닌 죽은 지 며칠 된 시신을 보는 한 느낌을 준다. 책을 살펴보면 미라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