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2016.03.24
브라헤가 또 하나의 초신성을 발견했다. 1604년 케플러 초신성 이후 지난 4백년간 우리
은하
에서는 새로운 초신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사진의 주인공은 ‘케플러 초신성 잔해’라 불린다. 케플러 초신성이 폭발해 남긴 잔해이기 때문이다. 초신성이 폭발한 후 뿜어져 나온 충격파가 주위의 가스와 ... ...
블랙홀이 내뿜는 ‘제트’ 예상보다 더 빨라
2016.03.23
초장기선 전파 간섭계 관측망(KaVA)을 이용해 2013년 12월부터 약 6개월간 집중적으로 M87
은하
를 관측했다. 한국과 일본의 전파관측망을 연결하면 직경 2000㎞급 수준의 높은 감도와 공간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단일 망원경으로는 이런 거대한 구경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전파의 간섭 효과를 이용한 ... ...
우주서 빙글빙글 초대형 바람개비
2016.03.10
M101은 지구에서 2500만광년 떨어져 있다.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M101은 2500만년 전에 그
은하
에서 출발한 빛이 빚어낸 모습이다. 지금으로부터 2500만년 전에는 지구에 코끼리의 조상인 ‘마스토돈’이란 포유류가 처음 나타났다. 혹시 숲의 대왕이 곰뿐 아니라 마스토돈도 집어던져 M101이 빙글빙글 ... ...
지구에서 ‘가장 먼
은하
’ 관측 성공
2016.03.06
실릴 예정이다. 대폭발(빅뱅)부터 현재까지 팽창해온 우주.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한
은하
‘GN-z11’는 이전까지 가장 멀리서 관측된 천체보다 2억 광년 더 멀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적으로 우주 전체 역사의 97%까지 관측한 셈이 된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유럽우주국(ESA) ... ...
134억 광년 떨어진 지구서 ‘가장 먼
은하
’ 발견
동아일보
l
2016.03.05
네모난 확대 사진). 이
은하
는 지구에서 약 134억 광년 떨어져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은하
중 가장 멀리 있다. 연구진은 대폭발(빅뱅) 이후 4억 년이 지난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예일대 제공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한번 뿐이라던 지구 밖 ‘굉음’, 반복 발생 첫 확인
2016.03.03
지난 주 호주 연구진은 파크스전파망원경에 포착된 FRB가 지구에서 60억 광년 떨어진 타원
은하
에서 날아온 것이라고 ‘네이처’ 2월 25일자에 발표했다. 그리고 불과 일주일 만인 2일 ‘네이처’에는 빅토리아 캡시 캐나다 맥길대 교수팀과 독일 막스플랑크연수소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이 한 번의 ... ...
[책의 향기]100년 만에 받은 선물… 중력파, 우주의 窓을 열다
동아일보
l
2016.02.27
쌍성계)이나 두 개의 블랙홀이 합쳐질 때 나오는 비교적 큰 중력파를 잰다. 크다고? 우리
은하
에서 가장 가까운 처녀자리 성단에서 고밀도의 중성자별 두 개가 1km 간격으로 돌면서 합쳐지는 중이라면 중력파의 크기는 대략 10-²¹ 정도가 된다. 이는 태양 크기 물체가 수소원자 반지름만큼 늘거나 ... ...
슈퍼지구 대기 성분 최초로 직접 스캔
2016.02.17
슈퍼지구는 질량이 지구보다 크고 해왕성보다는 작은 외계행성이다. 현재까지 우리
은하
에서 발견된 외계행성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근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 줄 슈퍼지구의 대기 성분에 관한 첫 관측 결과가 나왔다. 지오반나 티네티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교수팀은 새로운 ... ...
[2015년]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
2016.02.12
형성과정을 알아낼수 있을 것이다. 또 무거운 별의 마지막 진화과정을 관찰하고 우리
은하
중심부의 중력장을 파악하며 우주를 한층 더 깊이 이해해나가리라 기대한다. 몇 년 전 미국에서 열린 라이고-버고 연례총회에서 필자는 매우 인상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라이고 과학협력단 대변인이 라이고 ... ...
[2014년] 바이셉2 망원경의 역사적인 발견 vs 노이즈로 인한 착각?!②
2016.02.12
월에 발표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 걸까. 최기영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우리
은하
의 우주먼지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의 양은 아직 정확히 알 수 없고, 여섯 개의 가설(모델)만이 존재한다”며 “바이셉2 연구팀은 유력한 가설을 이용했지만, 다른 가설을 이용하면 연구결과의 정확도는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