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표제
테마
타이틀
논제
문제
목표
뉴스
"
제목
"(으)로 총 1,3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고든 갤럽 교수는 학술지 ‘사이언스’에 ‘침팬지: 자기인식’이라는 다소 철학적인
제목
의 논문을 발표했다. 오늘날 동물인지과학 분야의 고전으로 꼽히는 이 논문에서 갤럽은 침팬지가 거울 속에 비친 자기 모습을 자신이라고 인식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처음 거울을 봤을 때는 깜짝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매년 12월 영국의 왕립통계학회에서는 ‘올해의 통계’라는
제목
으로 한 해 동안 가장 이슈가 되었던 숫자들을 뽑아 발표합니다. 2018년 올해의 통계 우승자는 ‘90.5’가 선정됐답니다. 5만 개의 플라스틱 봉투로 만든 고래 그림. 이는 바다 2.6km²에 떠 있는 플라스틱 ... ...
폭발한 변기, 범인은 강추위
팝뉴스
l
2019.02.08
대신 얼음덩어리만 그 자리에 있다. 미국의 사진 공유 사이트에 올라온 이 사진의
제목
이 모든 것을 설명한다. “시카고에서는 변기가 폭발하기 시작했다.” 강추위 때문에 물이 꽁꽁 얼어붙으면서 부피가 늘어나 변기를 폭발시킨 것이다. 어마아마 강추위를 실감하게 만드는 사진이다. 해외 ... ...
딸은 19살, 부모 맘은 짠하다
팝뉴스
l
2019.02.08
웃음과 공감 그리고 왠지 모를 슬픔까지 일으키며 화제가 된 사진이다. 사진의
제목
을 “18번째 생일을 축하해”이다. 우리 나이로는 19살 정도 되었다. 소파에 얼굴을 묻고 잠들어 있는 것으로 봐서 대단히 피곤하거나 알코올 혈중 농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딸이 어렸을 적 모습을 담은 ... ...
팔 움직임 보고 사람 의도대로 움직이는 로봇 손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범용 학습이 가능한 셈이다. ‘손보다 눈이 더 빠르다(Eyes are faster than hands)’라는
제목
의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로보틱스 이번 호의 ‘포커스 논문’으로 게재됐다. 포커스 논문은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혁신적인 연구개발 성과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세한 연구 논문이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
2019.01.28
있다. 어느정도의 매출이 뒷받침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교재
제목
들은 딱 ‘초딩’스럽다. '화살표 코딩 가이드'를 따라 '놀이와 게임으로 코딩을 만나다' 보면 '홈페이지를 뚝딱, 게임을 척척' 만들 수 있는 '내일의 코딩왕'이 된다는 식이다. 코딩은 흥미와 동기유발에서 ... ...
옆집에 사는 외계인
팝뉴스
l
2019.01.22
제공 미국의 한 네티즌이 촬영해 인터넷에 공개한 이미지다. 사진
제목
은 “우리 옆집에 사는 외계인”이다. 밖을 봤더니 괴생명체(?) 하나가 창밖으로 상체를 드러내고 있었다고 한다. 사람은 아니다. 지구상의 또다른 동물도 아니다. 외계인이라고 밖에는 볼 수 없다. 많은 네티즌들은 사람이 ... ...
사진 찍다가 망한 케이스
팝뉴스
l
2019.01.21
제공 최근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이미지다. 사진
제목
은 “사진 찍기 좋은 곳”이다. 한 여성이 바닷가에서 포즈를 취했다. 멋진 기념 사진을 남기는 것이 목적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바다가 질투라도 했던 것일까. 아니면 단호히 거부했다고 해야 할까. 파도가 날아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허먼 폰처 교수는 ‘우리 몸은 운동을 위해 진화했다(Evolved to Exercise)’라는
제목
의 글을, 박사과정 학생이던 20여 년 전 처음으로 아프리카 침팬지 현장연구를 떠났을 때를 회상하며 시작하고 있다. 그때까지 동물원이나 실험실에서만 침팬지를 본 폰처는 야생의 거친 환경에서 살아가는 침팬지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속에서 결합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실제 자연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 네이처는
제목
으로 진화라는 개념을 만든 영국 과학자 찰스 다윈의 이론 ‘자연 선택설’의 반대인 ‘부자연 선택설’을 달았다. 이번 연구는 2018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프랜시스 아널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