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스페셜
"
남아
"(으)로 총 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어는 왜 中 베이징 코로나19 확산 주범으로 찍혔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20
관련 업체들은 피해를 입은 뒤였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바이러스 공포가 강하게
남아
있는 중국에서 수입 연어는 손쉬운 표적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 팬데믹이 된 상황에서 중국인에 대한 비난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중국 우한 바이러스 ... ...
[표지로 읽는 과학] 베일 벗는 유럽 신석기 시대 사회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20.06.20
유전학연구소 연구팀은 뉴그레인즈 묘실과 다른 지역에 있는 묘실에
남아
있는 유전체(게놈)를 분석하고 5000여년 전 이 지역 사회 조직에 관한 단서를 규명한 연구결과를 네이처 17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44명의 개인 게놈을 샘플링한 결과 뉴그레인즈 묘실에 묻힌 계급이 비교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빠르게 떨어질 것이다. 그럼에도 과연 수소에너지가 친환경인가라는 근본적인 의문은
남아
있다. 연료인 수소분자(H2)는 연소 뒤에도 온실가스(이산화탄소)와 환경오염물질이 전혀 나오지 않는데(산소와 반응하면 물만 나온다) 이게 무슨 소린가. 연소 과정만 보면 당연히 친환경 에너지이지만 ... ...
"코로나19 바이러스 핸드폰에 오래
남아
있어…자주 닦아야"
연합뉴스
l
2020.06.1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은 어떤 경우에 더 오래
남아
있을까? 핸드폰이나 면(cotton), 나무 표면에서는 침방울이 마르는 데 오래 걸려 더 자주 닦아주는 게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도공대(IITB) 라즈니시 바르드와즈 교수와 아미트 아그라왈 교수팀은 1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과학자들의 사해동포주의가 빛을 발한 결과였다. 시보그의 이름은 106번 시보귬(Sg)으로
남아
있다. 슬로바키아공대 앞에 있는 기념물은 주기율표와, 주기율표의 창시자 멘델레예프를 기리고 있다. 원소를 특성에 따라 분류한 주기율표는 화학 발전의 기틀이 됐다. 위키미디어 제공 ※참고자료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없는 곳에서는 생명을 이어가지 못한다는 사실도 유용하다. 빨래를 잘 말리기만 해도
남아
있는 미생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식품이나 생활용품의 경우에는 미생물의 침입을 차단해버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식품을 진공 팩이나 통조림처럼 밀봉된 상태로 보관하기만 해도 상당한 ... ...
우주 미스터리 풀어줄 157일 주기 '빠른 전파 폭발'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9
것이 포착됐다. 주기성을 가진 FRB는 이번이 두 번째여서 현대 천문학의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FRB 기원을 밝혀내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카우스투브 라즈와데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조드럴뱅크 전파 천문대의 러벌 ... ...
"세계 코로나19 상황 악화되고 있다" WHO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미국을 제외하면 대부분 남미와
남아
시아다. 문제는 이들 국가가 무덥고 습해 일각에서 호흡기 감염병인 코로나19 확산이 더딜 것이라고 기대한 곳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막상 감염이 시작되자 확산 속도가 겉잡을 수 없이 빠른 것으로 ... ...
"속도 더 빨라진 6번째 대멸종…육지 척추동물 515종 멸종 직면"(종합)
연합뉴스
l
2020.06.02
이 기간에 포유동물과 조류 77종은 전체 개체 수의 94%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남아
있는 개체 수가 1천마리 미만인 육지 척추동물 중에는 조류가 335종으로 가장 많았고, 포유류 74종, 양서류 65종, 파충류 41종 순이었다.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이들 종의 서식지는 대부분 인간의 ... ...
과학자들 "코로나19 확산하는 최적환경 있지만 계절 영향 안받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19만 8000명의 환자를 낸 인도(7위), 8만 7000명의 환자를 낸 사우디아라비아(16위)도 각각
남아
시아와 중동의 국가로 더운 기후를 보인다. 연구 결과도 이런 결과를 뒷받침한다. 레이첼 베이커 미국 프린스턴대 환경연구소 교수팀은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전파 특성에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