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77건 검색되었습니다.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
과학동아
l
2019.10.19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서울대 미생물학과(현 생명과학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뇌
과학을 공부하다 AI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다. AI 중에서도 임 대표의 선택은 법률 AI였다. 임 대표는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기 전 대법원 법률자료 디지털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며 “당시 ... ...
[과학게시판] '제1회 KETFA 2019'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KIST) 감사의 '노벨상 수상전략' 정책강연과 임창환 한양대 교수의 '인공지능과
뇌
공학이 바꿀 인류의 미래' 강연도 열린다. 31일에는 '지역경제를 살리는 지역 연구개발(R&D) 정책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전기연의 역할'을 주제로 패널토론이 열린다. 최규하 전기연 원장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기술 ... ...
치매약 아닌데…외국서 퇴출수순 약품 151만건 치매환자에 처방
연합뉴스
l
2019.10.14
퇴출 수순을 밟고 있는 성분이다. 치매치료제로 공인된 적이 없어 외국에서는
뇌
대사 기능개선제로 나이가 들어 기억력 감퇴, 무기력, 어눌함을 느끼는 환자에게 쓰도록 허가됐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콜린알포세레이트가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4명 중 1명에게 처방되고 ...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
2019.10.12
관련성이 있는 것을 보인다. 사실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
졸중이 오면 많이 생긴다.
뇌
혈관이 굳어지니 좋을 것은 없고, 그러니 알츠하이머 치매도 온다고 얼버무리기는 곤란하다. 죽상경화증과 알츠하이머 치매를 잇는 공통분모가 클라미디아 폐렴균 혹은 민감한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엡실론 4 ... ...
명상단체·창조과학 정면 비판 김우재 교수 모욕·명예훼손 일부 '죄 없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맡고 있다. 과학계 내부의 비판이 거세지자 강연자로 참석하려던 김경진 전 한국
뇌
연구원장, 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 등은 행사 하루 전 강연을 취소했다. 이들은 한 과학계 원로 인사의 부탁으로 내용과 주최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지 않은 채 강연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역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느껴 피할 것이다) 대신 망막에 있는 멜라놉신(melanopsin)이라는 수용체가 파란빛의 정보를
뇌
의 일주리듬조절영역인 시각교차상핵(SCN)으로 전달한다. 파란빛이 들어와 멜라놉신이 활성화되면 SCN은 여전히 낮이라고 해석한다. 그런데 벌써 해가 떨어져 멜라놉신이 잠잠해져야 할 때임에도 백색광 ... ...
삼성,
뇌
종양 탐지세포·단일 원자층 반도체·추론하는 AI 등에 330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동안
뇌
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해석해 다시 음악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뇌
와 컴퓨터 간 인터페이스에 활용될 수 있는 원천 기술이다. 정교민 서울대 교수는 연역적 추론이 가능한 AI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기술이 개발되면 AI가 학습되지 않은 돌발 상황에도 사람처럼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스위치'인 셈이다. 이런 산소 감지 메커니즘은 빈혈과 암, 대사성 질환, 심장 마비,
뇌
졸중 등 관련되지 않는 질병을 찾기 힘들 정도다. 노벨위원회는 특히 HIF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빈혈과 암 치료로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빈혈의 경우 HIF를 올리는 일련의 실험들이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고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3인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2003년 유방암이 발병한 후 2005년 완치에 성공한 것으로 판명받았다. 하지만 2010년 암이
뇌
로 전이되며 발생하는 교아세포종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 2015년 목숨을 잃었다. 케일린 교수는 다음 달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다음달 8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리는 ‘2019년 대한종양내과학회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개발한 이 기술은 파킨슨병부터 기분장애에 이르기까지
뇌
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할 혁명적인 기술로 꼽힌다. 일반인에겐 낯설지만 세포생리학도 유력 수상 후보로 수년째 물망에 오르고 있다. 세포의 삶과 죽음에 관여하는 윈트(Wnt)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