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당함
타당성
충족
완전
스페셜
"
충분함
"(으)로 총 91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재감염 사망 사례 처음으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빨간색이 사람에게서 분리한 코로나19의 모습이다. NIAID/NIH/SPL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재감염됐다가 목숨을 잃은 사례가 처음으로 보고됐다. 13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마졸라인 웨그담블란스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 의대 교수팀은 89세 여성이 코로나19에 재감염돼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 일상 방역망 ‘마스크’ 감염·증세·사망자 모두 줄여
2020.10.14
의료용 마스크로 만든 낙하산을 쓴 사람이 바이러스로 가득한 하늘로 내려오는 카툰. 과학자들은 마스크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효과를 잇따라 입증했다. 네이처 제공. 과학자들은 얼굴을 가리는 마스크가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팬데믹) 시기에 인명을 구한다고 입을 모은다. 그럼에도 ... ...
하얀입자 발견된 독감백신 61만 5000개 회수…식약처 "안전성 문제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독감 백신 접종을 맞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국백신’의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코박스플루4가PF주’의 내용물에서 하얀 입자가 발견돼 이와 관련된 제품 61만 5000개를 회수한다고 이달 9일 밝혔다. 한국백신이 생산에 특정 업체의 주사기를 활용한 백신 일부에서 눈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Pixabay 제공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7일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52)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이라는 유전자 기술의 ... ...
노벨물리학상 영국 펜로즈 교수 "샤워하다가 소식 들어"
연합뉴스
l
2020.10.07
"블랙홀의 가장 큰 수수께끼는 특이점…무슨일 벌어지는지 이해해야" 1960∼70년대 호킹 박사와 같은 문제 연구…생존했다면 공동수상 가능성 "학창시절 수학시험 잘 못봐…파워포인트 쓰긴 하지만 증오" [재판매 금지] 올해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 중 한 명인 영국의 천체 물리학자 로저 펜 ... ...
WHO 전세계 10% 감염됐다는데 통계는 3500만명뿐…차이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영국의 의료진이 항체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세계보건기구(WHO)가 전 세계 인구 중 10%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걸렸을 수 있다고 밝힌 가운데 이에 대한 근거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유엔 등 국제기구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는 78억명이고, 10% ... ...
[코로나19 연구속보] “실내에서 2m 떨어져 대화 나눠도 코로나19 감염 가능하다”
2020.10.06
미국 프린스턴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여러 다른 문장들을 읽는 사람 입에서 나오는 작은 비말들을 레이저로 촬영해 비말들이 얼마나 빨리 또 얼마나 멀리 움직이는지 분석했다. 미국 프린스턴대 제공 실내에서 일상적인 대화만 나눠도 말하는 사람 입에서 나온 비말(침방울)이 상당히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정보 분석 애플리케이션인 '제노포'가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는 모습이다. 가반의학연구소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30분만에 분석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라 데버슨 호주 가 ... ...
[인간 행동의 진화] '멍 때리기', 진짜 정보를 취하는 과정
2020.10.0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멍때리기 2014년 10월 27일 서울시청에서 아주 이상한 대회가 열렸다. 멍때리기 대회(the Space-out Competition). 그냥 멍하니 앉아 있는 대회다. 규칙은 간단하다. 잠자거나 떠들거나 노래부르거나 먹거나… 이런 ‘목적 지향적 행동(goal-directed behaviors)’을 하지 않는 것이 전부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슬픈 질병 ‘퇴행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사이언스 제공. 신경의 퇴화 노년층에서 매우 흔한 증상이다. 다양한 퇴행성 질환들이 많지만 가장 치명적이고 해결책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이다. 퇴행성 뇌질환의 대표적인 질병은 기억을 상실해 사람들의 삶과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알츠하이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