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스페셜
"
nasa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한 생명과학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암흑물질 모델을 만든 공로로 '뉴 호라이즌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사진은 페르미 버블.
NASA
제공 ○뉴호라이즌 물리학상 뉴 호라이즌 물리학상은 단독 수상 1명과 공동 수상 2팀 등 총 9명에게 돌아갔다. 트레이시 슬랫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페르미 버블(Fermi Bubble)’의 발견으로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촬영한 소행성 베누의 모습이다. 베누는 지구 자전 방향과 달리 동쪽에서 서쪽으로 돈다.
NASA
제공 소행성 표면에서 돌조각이 튀어나오는 현상은 베누의 해질녘 때 주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누는 4.3시간마다 자전하는데 해가 사라지는 부위에서 주로 작은 돌맹이 만한 ... ...
우주를 여행하는 우주인의 건강 필수품은 '장내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유영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 제공 여러 민간우주기업들이 우주여행 관련 상품을 내놓고 일반인의 국제우주정거장(ISS) 방문이 허용되는 등 우주 여행이 가시화되고 있다. 하지만 그 이전에 해결해야할 문제가 있다. 우주 여행자의 건강 유지다. 우주에서 오랜 시간을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벤 자이칙 교수팀도 날씨와 코로나19 연관성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팀은 MERRA-2 라는
NASA
의 기후정보 데이터세트를 활용할 계획이다. MERRA-2는 전 세계 기상위성을 활용해 장기간 기후를 관측하는 프로젝트다. 자이칙 교수는 “우리는 처리할 수 있는 모든 무기를 갖고 있다”며 “날씨와 코로나19 사이 ... ...
지구가 달을 녹슬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연구팀은 달의 철도 녹슬 수 있다는 가정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인도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에 탑재한 ‘달 광물 지도작성기(M3)’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철이 산화해 만들어진 적철광이 달의 고위도 지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안드로메다 은하 둘러싼 가스 우리 은하와 이미 충돌 중"
연합뉴스
l
2020.09.01
망원경으로 은하 헤일로 분석…"예상보다 훨씬 크고 복잡" [
NASA
, ESA, J. DePasquale and E. Wheatley (STScI) and Z. Leva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 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대형 은하인 '안드로메다'를 둘러싸고 있는 뜨거운 가스인 '헤일로'(Halo)가 지금까지 여겨오던 것보다 훨씬 더 크고 복잡해 이미 우리 ... ...
박테리아 1mm 크기로 뭉치면 지구-화성 여행도 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장비가 박테리아가 담긴 실험설비다. 일본우주항공개발연구기구(JAXA)/미국항공우주국(
NASA
) 제공 방사능에 노출돼도 살아남는 지구 박테리아가 지구에서 화성까지 이동하는 긴 기간에도 살아남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야마기시 아키히코 일본 도쿄대 약학 및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탄포포’ ... ...
별 헤는 밤 망치는 우주쓰레기 어이할꼬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관측을 방해한다. 인공위성이나 우주선과의 충돌도 유발한다. 실제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는 2007년 우주 쓰레기와 충돌하며 손가락 크기의 큰 구멍이 생기기도 했다. 우주 쓰레기는 1957년 10월 4일 구소련이 제작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 ...
만도,
NASA
와 손잡고 코로나19 환자용 인공호흡기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호흡기를 생산하게 된다. 만도는 “업계에서는 만도가 보유한 오작동 정상화 기술이
NASA
로부터 높게 평가받았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고 밝혔다. 오작동 정상화 기술은 자율주행 제작에 필요한 기술 중 하나로 기존 차량 시스템이 고장났을 때 자동으로 작동하는 비상 기능이다 ... ...
충돌 확률 0.41% 지름 2m짜리 소행성 지구로 접근한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5m 아래 소행성은 1년에 1~2개 지구 대기권에 들어오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NASA
는 “소행성 2018VP1은 매우 작아 지구에 전혀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미국 대선일 하루전 11월 2일 지구 대기권에 들어와도 아주 작은 크기로 다 분쇄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