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뉴스
"
초
"(으)로 총 5,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본 하늘 모습은?
동아일보
l
2013.08.18
강한 바람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선명한 촬영이 가능했다”며 “스마트폰으로는 세계 최
초
로 성층권 촬영에 성공한 것”이라고 말했다. [화제의 뉴스] - ‘이산상봉-DMZ공원’ 박근혜표 대북정책 시동 - ‘내 몸 안의 시한폭탄’ 대사증후군 - 유니세프 한국委 사무총장 해임 이유 - ‘결혼행진곡’ ... ...
해킹, 이젠 당신의 목숨까지 노린다
동아일보
l
2013.08.15
주행과 주택의 각종 전자기기, 심지어 인간의 생명까지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달
초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컴퓨터 보안 콘퍼런스에서는 흥미로운 시연 장면이 연출됐다. 트위터의 보안 연구원 찰리 밀러 씨와 보안연구회사 아이오액티브의 국장인 크리스 밸러섹 씨는 자동차를 ... ...
GPS로 멸종위기종 동물 보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 산하 천연기념물센터 연구진은 올
초
전라남도 영광군 칠산도에서 번식한 천연기념물 ‘저어새’ 5마리의 이동경로를 추적한 결과, 5마리 모두 영광군 갯벌에서 무사히 생존해 있음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개발한 ... ...
대학 연구실은 '시한폭탄' 저장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따로 보고하진 않았어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건 제 잘못이니까요.” 올해
초
까지 서울 ㅇ대학에서 석사과정을 밟았던 K씨(여·26)는 지난해 여름 연구실에서 당했던 사고를 떠올리면 지금도 아찔하다. 실험의 특성상 냉방장치를 가동할 수 없어 진땀을 흘리며 실험을 하다가 무심코 방호 ... ...
국내 이공계 박사 10명중 1명꼴 ‘대덕 주민’
동아일보
l
2013.08.13
‘시계의 시계’라 불리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표준시계 ‘KRISS-1’은 300만 년에 1
초
의 오차만 허용한다. 이 연구원 정원에는 실제 뉴턴 고향집 사과나무의 4대손인 ‘뉴턴의 사과나무’가 자라고 있다. 반면 대덕에 사는 박사들은 지역공동체 활동에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박사 동네는 4 ... ...
[대덕연구단지 40년]허허벌판이 과학기술 메카로
동아일보
l
2013.08.12
1973년 1월 12일 연두 기자회견에서 이른바 ‘중화학공업 선언’을 했다. ‘1980년대
초
100억 달러 수출, 전체 수출 상품 중 중화학 제품 50% 이상 차지’가 핵심 목표였다. 김광모 당시 대통령 비서관(80)은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이 끝난 1971년 무렵 2차산업 비중이 1차산업에 ... ...
스마트폰 중독, 부모가 먼저 스마트하게 대응해야
동아일보
l
2013.08.12
동아일보] [신문과 놀자!/주니어를 위한 사설 따라잡기] 《 여성가족부와 교육부가
초
등 4학년, 중학 1학년, 고교 1학년 청소년 170만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3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 진단’ 결과가 매우 걱정스럽다. 스마트폰에 중독된 학생은 무려 24만여 명으로 인터넷에 중독된 ... ...
황당한 BMW 5시리즈…주행 중 문짝 열려
동아닷컴
l
2013.08.09
이미 지난해부터 해당 차종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불거져 나왔다. 급기야 지난 4월
초
에는 이와 관련한 정보공유 카페(BMW GT OWNER)까지 생겨 집단 대응 중이다. 카페 운영자 이모 씨는 동아닷컴과의 전화통화에서 “내차(GT30dxDrive) 역시 회전구간을 통과하던 중에 뒷좌석 문짝이 열려 타고 있던 가족이 ... ...
3D프린터의 마술···그림같은 집도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9
음식까지 3D 프린팅 기술로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올
초
네덜란드 건축가 얀야프 라이제나르스는 3D 프린팅 기술로 350㎡ 규모의 건물을 짓겠다고 발표해 화제가 됐다. 그가 설계한 건물은 얇고 긴 띠를 꼬아서 양 끝을 이어 붙인 ‘뫼비우스의 띠’ 모양으로, 내년 ... ...
한국이 자살률 1위인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8.07
메커니즘에 기반한 스트레스 조절 방법을 알아본다. 이에 앞서 장기영 서울 독산
초
교사는 ‘빈틈없는 빛 키퍼’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9일 오후 6시 30분부터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5대 도시에서 연다. ... ...
이전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