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➋] 수학동아 레고카페, 레고와 수학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독자들에게 레고 공장 모형으로 수학 원리를 배울 수 있다며 그 원리를 설명하기 시작했다.“공장에서 기계 하나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요? 다른 장비들은 아무 이상 없어도 공장 전체가 멈춰 버리겠죠? 그래서 공장 생산 라인에는 장비마다 생산할 제품을 어느 정도 준비해 놔야 해요. 그러면 그 ... ...
- 브래지어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성장 단계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보통 초경 전, 유두 주변이 부풀기 시작하면 브래지어를 입는다. 신축성이 좋은 소재이면서 가슴을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모양이 좋은데,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사이즈를 자주 재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도 1년에 한 번씩은 속옷 매장을 찾아 유방 크기를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이 원소는 빔 분리부에서 분리돼 여러 가지 실험에 이용된다. 이 전자석은 이 과정의 시작과 끝을 담당한다. 그런데 겉모양만 봐서는 이게 왜 개발하기 까다로운 부품인지 실감이 안 났다. 개발을 주도한 김도균 IF·고주파팀 연구위원과 최석진, 김용환 빔물리·입사기팀 연구위원에게 설명을 ...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상반신 로봇 ‘로보너츠’에 하반신을 만들어 붙인 것이다.NASA 존슨우주센터는 행사 시작 며칠 전에 화성탐사용 로봇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대대적으로 발키리를 공개하기도 했다.의외였던 점은 발키리는 겉으로 보기에도 대단한 고급형 로봇이란 느낌이 강했다. 흰색의 몸체에 굶은 팔다리도 ... ...
- 두 얼굴의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것이 원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만 이야기하자. 이 모든 것은 원자를 이해하려고 시작한 거니까. 전자가 원자핵에 들러붙지 않는 이유원자핵과 전자는 서로 다른 전하를 띄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인력이 작용해 서로 들러붙거나 궤도운동을 할 수 있다. 원자핵이 아주 무거우니까, 사실상 원자핵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우주선 등을 우주로 인도한 로켓들이다. 중국은 일찍부터 발사체 개발에 집중했다. 시작은 러시아나 미국보다 늦었지만, 중국은 세계에서 5번째로 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한 나라다.1970년 4월, 중국 첫 위성 동팡홍1호를 쏘아올린 창정1호는 당시 운반 능력이 300kg이었다. 동팡홍1호의 무게는 173kg이었다.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논문을 잡아내지 못했다. 하지만 ‘황우석 신화’는 바로 사이언스에 논문이 나가면서 시작됐다. 사이언스의 권위에 누구도 제대로 된 비판을 하지 못한 것이다. 자매지들의 싹쓸이 전술‘자매지’를 통한 학술지 시장 잠식 우려도 있다. 유명 학술지들은 새로운 자매지를 만들어 시장을 확장하고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편집자 주_이번 호부터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연재를 시작합니다. 사람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지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재미있게 풀어나갈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새해를 맞이하여 다들 많은 다짐을 했을 것이다. 이번만큼은 반드시 해내겠다며 ... ...
- 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의외로 우주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힉스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그리고 이 현장에 한국 물리학자도 함께 한다.1파트는 힉스 입자 발견으로 촉발된 새로운 물리학 연구를 소개한다.2파트는 한국 과학자가 제안하고 세계가 찾는 대표 입자 세 가지를 소개하며,3파트는 한국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말했다. 1~100μeV 질량대가 주 탐색 대상이며, 3년 안에 시설을 완성하고 바로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현재 액시온은 강력하고 우아한 가설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비판도 있다. 한 물리학계의 원로는 “액시온은 매우 뛰어나지만 틀린 이론”이라며 날선 지적을 했다. 김 교수는 느긋하다 ... ...
이전5375385395405415425435445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