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제작과정을 통해 살펴본 것처럼, 인포그래픽에는 통계뿐만 아니라 디자인 요소도 큰 부분을 차지해요. 따라서 통계학자와 컴퓨터과학자, 미술, 영상, 음악 전공자들이 함께 인포그래픽을 만들어요. 일종의 융합 학문인 셈이죠.그런데 인포그래픽이라도 너무 복잡하거나 알아보기 어렵다면 정보를 ... ...
- 생물계의 팔방미인 출동이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진시황은 아예 불로초를 찾겠다며 전 세계에 사람을 보낸 적도 있단 말이지요. 하다못해 큰 병 없이 오래오래 살고 싶다는 바람쯤은 누구나 갖고 있지 않나요? 그런데 장수의 비결을 품고 있는 동물이 나타났다지 뭐예요. 이럴 땐 잽싸게 인터뷰를! 어, 잠깐. 상대가 안 보이잖아. 흙 속에서 희미한 ...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정리를 증명하는 것으로, 정리는 다음과 같다.a, b, c가 0이 아닌 정수이고, n이 2보다 큰 자연수일 때 aⁿ+bⁿ=cⁿ을 만족하는 자연수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페르마의 마지막 문제는 원래 x³+y³=z³과 같은 방정식에서 출발했다. x, y, z에 자연수 3개를 대입해서 이 방정식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을까 ... ...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성질까지 같은 구석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완전히 다른 도형이다.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삼각형이 생기는 공간이다. 먼저 뢸로 삼각형은 평면 위에 생긴다. 즉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표현된다. 여기에서 직선은 두 점을 이은 곧게 뻗은 선이고, 각도는 두 직선이 ... ...
- 우리는 창의력 대장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 장면은 청원고 창의력동아리(CSC, creative science club) 학생들이 설계한 ‘골드버그 장치’다. 골드버그 장치란 일종의 도미노로, 기계장치를 ... 말했다. 한산울 학생도 “과학을 좋아하는 친구들과 함께하는 것이 동아리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그 말처럼 학생들은 시종일관 밝고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분출한다면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 용암류, 화쇄류, 암설사래, 화산 이슈 등으로 인해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1707년 후지산이 폭발했을 때 2cm 가량 화산재가 쌓였다. 당시에도 화산재로 인한 냉해와 농사 피해가 문제가 됐지만 대도시가 된 지금은 이야기가 다르다. 도쿄 인근의 나리타, 하네다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선임연구원은 “사전에 원숭이를 이용해 체세포를 복제하는 실험 과정을 최적화했던게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000개가 넘는 원숭이의 난자로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하면서 가장 복제가 잘 되는 조건을 찾은 뒤 인간난자에 적용했다.연구팀이 보고한 또 다른 복제 성공 요인은 커피에도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42’, 잠잘 때는 꺼두는 게 낫다새 슈트의 가장 큰 특징은 토니가 직접 입지 않아도 생각만으로 아이언맨을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영화에서 토니는 몇백 km 떨어진 곳에서 생각만으로 아이언맨을 움직여 비행기에서 추락한 시민들을 구했다. 토니가 악몽을 꾸며 신음하자 슈트가 뛰어오기도 했다. ... ...
- [화보] 어린왕자가 사랑한 사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움직이는 것이다. 작은 바르한은 하루에 5cm 정도 이동하지만, 높이 30m에 너비 40m 정도의 큰 바르한은 몇 년간의 관측을 통해서만 그 이동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사막에서 찾은 또다른 자연의 패턴중남미 사막 지역을 걷다 보면 멕시코를 연상시키는 사구아로 선인장을 볼 수 있다. 누군가 ... ...
- [가상 인터뷰] 쌍둥이 소수 추측, 해결 실마리를 찾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게재 승인이 난 상태랍니다.제가 쌍둥이 소수 추측을 증명했다는 소식은 수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어요. 아직 많은 수학자들이 제 증명을 검토하고 있고, 검토가 끝나려면 좀 더 시일이 걸릴 거예요. 분명한 건, 이런 연구가 하나 둘 모여 수학계에 미해결된 난제들을 푸는 중요한 열쇠가 될 거란 ... ...
이전5375385395405415425435445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