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뉴스
"
전망
"(으)로 총 6,04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6000m 누빌 韓 두 번째 심해 무인 로봇
2015.08.14
한국형 유인 심해 잠수정은 전 세계 바다의 98% 이상을 탐사할 수 있는 6500m급이 될 것으로
전망
된다. 탑승 인원은 3명, 운영 시간은 10시간 안팎으로 동해 어디든 탐사할 수 있다. 전 연구원은 “연말까지 크랩스터 6000의 프로토타입(시제품) 제작을 끝낼 계획”이라며 “2020년경에는 6000m급 무인 ... ...
[청년드림]상담~사후관리 7단계 취업다리 큰 성과
동아일보
l
2015.08.12
531명 늘었다. 올해는 5월 말까지 1525명에 달해 연말쯤이면 3000명을 훌쩍 넘길 것으로
전망
된다. 고양시가 청년 일자리의 메카로 자리 잡은 비결이 뭘까. 2013년 7월 개설된 ‘청년드림 고양캠프’의 영향이 크다. 청년드림 고양캠프는 동아일보 청년드림센터와 고양시가 청년들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필요 없는데다 대량생산에 적합한 연속공정도 가능해 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될
전망
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로 만든 박막형태양전지는 광변환 효율 11.4%를 달성했다. 이는 유사한 화합물로 구성된 저가형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효율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기존 나노잉크 프린팅 기술의 단점 ... ...
유엔, “금세기 말 세계인구 110억 명 돌파한다”
2015.08.10
유엔에 따르면 세기말에 이르러서도 지구상의 인구는 감소하지 않고 꾸준히 늘어날
전망
이다. 인구 증가의 주 원인으로는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의 빠른 인구 증가가 지목됐다. 현재 12억 명에 이르는 아프리카 인구가 2100년에는 34억~56억 명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나이지리아는 ... ...
“4년제 대학보다 취업 잘되는 전문대 갈래요”
동아일보
l
2015.08.06
원하는 경우가 확 늘었다”고 말했다. 전문대 관계자들도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했다. 권형태 신성대 입학관리처 주임은 “우리 학교는 제철산업과 관련된 분야가 현대와 연계돼 있어 졸업생들이 현대에 많이 취직한다”며 “해당 과 학생들은 한 해 평균 자격증을 5개는 취득할 정도로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즐기거나 의료진이 가상현실에서 미리 수술을 시뮬레이션하는 일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
된다. 연구진은 3차원(3D) 텔레비전과 마이크로소프트 게임기 ‘엑스박스’에 사용되는 동작인식 센서인 ‘키넥트(kinect)’를 이용해 가상현실 속 사물을 조작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우선 3D 텔레비전 3대를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새로운 체계의 발견으로 여러 해결되지 않은 문제 해결의 새로운 가능성을 얻게 될
전망
이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서울대 한의학물리연구실에서 얻은 봉한관(왼쪽)과 김봉한 박사의 논문에 나온 봉한관(오른쪽). 두 가지 모두 긴 막대 모양의 핵이 관찰된다. - 서울대 한의학물리연구실 제공 ... ...
미래형 ‘전기비행기’ 시제품 나왔다
2015.08.03
무인 항공기 크기로 밖에 만들 수 없었던 ‘전기비행기’를 조만간 사람이 탈 수 있게 될
전망
이다. 유인 전기비행기를 실제로 만들기 위한 기술디자인 대회가 미국항공우주국(NASA) 주최로 열렸다. NASA는 ‘전기비행기 디자인대회(US University Design Challenge: All-electric aviation vehicle)’로 불리는 이 ... ...
태풍 끝, 찜통더위-열대야 시작
동아일보
l
2015.07.27
그러나 남해안과 동해안 일부 지역은 27일 오전까지 태풍의 간접 영향권에 들 것으로
전망
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기상청에 따르면 26일 오후 7시 30분경 일본 가고시마 북서쪽 200km 해안에 상륙한 할롤라는 27일 오전 6시 부산 동남쪽 170km 해상까지 진출한 뒤 열대저압부로 소멸될 것으로 보인다. ... ...
조혈모세포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에게 켜진 ‘그린라이트’
2015.07.26
생착률을 높이는 지도 구체적으로 밝힌 만큼 향후 임상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
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날카로운 기구로 나뭇조각처럼 보이는 물체를 파내는 듯한 모습이 담겨 있다. 그런데 나뭇조각처럼 보이는 물체는 사실 나무가 아니라 뼛조각이다.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