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실내에서 2m 떨어져 대화 나눠도 코로나19 감염 가능하다”
2020.10.06
스톤 교수는 “만약
큰
소리로 30초 동안 말하면 2m 넘게 떨어져 있는 대화 상대자에게도 에어로졸을 전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대화중에 뿜어져 나온 에어로졸이 약 30초 만에 2m 거리까지 전파되고, 그 이상의 거리에서도 원래 농도보다 3 ... ...
30년전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자, 코로나19와 싸운다
2020.10.05
넘나들며 활발한 바이러스 연구를 해왔다”고 회상했다. 그는 “라이스 교수는 매우
큰
연구실을 운영했고 박사후연구원들에게 연구하고픈 다양한 주제를 마음껏 연구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며 "본인 역시 주말도 없이 출근하며 성실히 연구했다"고 말했다. 마이클 호턴 캐나다 ... ...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한 과학자들 노벨생리의학상(재종합)
2020.10.05
1960년대 수혈을 받은 사람들이 원인 모를 병으로 만성 간염에 걸리면서 이는 의학계에서
큰
문제가 됐다. 1960년대 중반 A형 간염 바이러스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발견되면서 문제가 일단락되는 듯했다. 하지만 1972년 NIH에서 수혈 환자를 연구하던 올터 소장은 A형도 B형도 아닌 새로운 바이러스가 ... ...
노벨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C형 간염바이러스는 침묵의 위협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반면 C형 간염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지나가지만 약 55~85% 정도에서는 만성화된다. 가장
큰
문제는 A형간염, B형간염과 달리 C형간염을 예방하는 백신이 아직 없다는 것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조심하는 방법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C형간염은 다른 간염과 달리 오염된 음식물 등으로 ... ...
[생중계] 2020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오후 6시 30분부터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12일 오후 6시 45분 경제학상 순으로 수상자 발표가 시작된다. 이 가운데 생전 노벨이
큰
애착을 가진 과학 분야 수상자가 누가 될지 관심이 모인다. ■ 지난 노벨상 기사 모음 ☞ http://dongascience.donga.com/special.php?category=001_156 2019년 생리의학상 노벨의학상 과학자들, 호흡 복잡성 규명하고 ... ...
'강하고 전기 잘 통하는 입체 그래핀 제조'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100배 강하고 열과 전기를 전달하는 전도성이 뛰어나며 휘어져도 성질이 변하지 않아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소자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물성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실제 응용에 한계가 많았다. 특히 평면 형태의 그래핀을 쌓아 입체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렇게 만든 대표적인 입체 ... ...
[코로나19 연구속보] 일반감기 유발 코로나바이러스 항체가 코로나19를 막을 수 있을까
2020.10.05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염증을 일으키는 일부 면역반응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라 마치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마이클 레빈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 소아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두 종류의 매우 다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환자 9명에게서 분리한 바이러스를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와
큰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는 주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RNA 메틸화가 일어난 부분들을 모두 짚어내는 데 성공했다. 데버슨 선임연구원은 “코로나19 ... ...
"다이옥신, 만성 피부질환 '건선' 발병에 영향"
연합뉴스
l
2020.10.05
사실을 확인했다"며 "건선의 원인을 밝히는 데 기여해 이 결과가 추후 치료제 개발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과학 국제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게재됐다. 연합뉴스TV 캡처. 작성 김선영(미디어랩)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있는 오가노이드를 개발한 연구자도 꼽혔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면역과 백신 개발에
큰
영향을 끼친 주조직적합성복합체(MHC) 단백질 발견과 면역세포가 자신을 공격하지 않는 ‘관용’ 기능 발견이 꼽혔다. ●2010년 이후 5회 수상…최근 강세 천체물리·우주 분야 또 받을까 물리학상은 최근 10년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