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SF애니메이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과연 어떻게 끝
날
까?)대량 살상이 가능한 생화학무기 개발이라는 문제를 위트 있고
날
카롭게 묘사한 이 작품은 옴 진리교의 지하철 살인사건을 연상케 한다고 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마지막 에피소드 ‘대포의 거리’(Canon Fodder)는 독특한 스타일과 색채감각으로 일본의 내면을 재현한다. 영화는 ... ...
영재증명서 멘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친목을 도모하는 잡담형식으로 모임이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이다.2회 멘사테스트가 있던
날
오후에는 제1기 한국멘사 회원 60여명이 모여 한국멘사를 꾸리기 위한 의견들을 모았다. 이 자리에 모인 회원은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부터 40대 중년신사까지, 또 전업부부에서 공사생도까지 나이나 직업이 ... ...
단풍에도 계급이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든다는 것은 식물이 늙는다는 것이다. 단풍이 드는 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어느
날
갑자기 잎이 노랗거나 빨갛게 물드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초록색이었던 잎이 햇볕이 드는 쪽부터 부분적으로 노랗게 되었다가 붉은색이 첨가되면서 오렌지색으로 변한 다음, 완전히 붉게 물든다. ... ...
손쉬운 개미 관찰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이런 행동양식을 영어로는 ‘hilltopping behavior’라 부른다.교미를 마치고 스스로
날
개를 부러뜨린채 새살림을 차릴 굴을 파고 있는 여왕개미를 채집해 실내에서 길러보면 한 여왕이 어떻게 새로운 왕국을 건설해 나가는 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미 건립된 개미 군락을 채집해 길러보아도 좋을 것이다.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있다. 타이태닉호는 7번의 경고를 무시하다 빙하와 부딪쳤고, 챌린저호는 1월의 매운
날
씨로 얼어붙은 발사장 주변 상황이 가져올 사고 가능성을 무시했다 74초만에 공중 폭발했다. 당대 최고를 자랑했던 타이태닉호와 마찬가지로 챌린저호 역시 당대 최고의 우주선이었다.사고 이후 나사(미국 ... ...
수학 마무리 특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본다.문제지를 받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자모의고사 다음
날
이면 울상이 되는 학생들이 있다. 그중에는 집에가서 채점을 하고 답을 보니까 뒷면에 풀 수 있는 쉬운 문제가 많았단다. 그런데 자기는 앞에서부터 풀어내려오다가 중간에 막히는 문제가 하나잇어 시간을 ... ...
1.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에 봉사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있는 ‘생각하는 사물’(Things That Think) 등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연구는 오늘
날
의 개인용 컴퓨터가 ‘개인용’ 이란 이름에 걸맞는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현실 인식에서 출발한다.우리의 책상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컴퓨터는 ‘나만의 것’ 이다. 그러나 이 기계가 ‘나를 위해’ ... ...
피라미드는 거대한 수학공식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가장 많이 끈 장소는 일명 '왕의 방' 이다. 밑면에서 3분의 1 떨어진 곳에 위치해 면도
날
을 재생시키고 부패를 막는 등 '피라미드 파워' 를 일으킨다는 곳이다. 이곳에는 어떤 수치들이 숨겨져 있을까.먼저 눈에 띄는 점은 '왕의 방' 의 가로와 세로를 비롯한 여러 가지 건축 구성 비율이 1:1.618, 즉 ... ...
애즈택 여왕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나무의 줄기를 따라 위아래로 두어번쯤 오르락 내리락하고 난 다음 스스로 자기의
날
개를 부러뜨린 후 곧바로 나무 줄기 속으로 파고들기 시작한다. 이때 여왕개미는 줄기의 아무 곳에서나 구멍을 뚫지 않는다. 트럼핏 나무가 여왕개미를 위해 미리 특별히 얇게 준비해 놓은 곳이 있다. 여왕개미가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것이라는 ‘근거 없는’ 주장에 대해서였다.이 사실을 언제 어떻게 발견했나1986년경 어느
날
서울대학교 대기과학과 김성삼 교수가 찾아와 “중국인이 쓴 어떤 글을 보니 측우기가 중국에서 먼저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근거가 있느냐”고 물은 것이 관심을 가진 계기였다. 이후 중국을 여러번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