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제주도 등에서만 드물게 발견되는 ‘돌매화나무’. 돌매화나무는 세상에서 가장 키가
작은
나무다. 보통 1〜2cm 밖에 자라지 않는다. 하지만 부름켜가 있어 계속 자라며 몇 해를 사는 ‘당당한’나무다. 가장 무거운 나무미국 캘리포니아주 세코이아국립공원에 있는 아메리카삼나무‘제네럴 셔먼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교육하는 방식 학생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단계별 지도방식을 택할 수 있다84년 정부가 '
작은
정부' 실현을 꾀하고 국내정보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행정 금융 교육연구 국방 공안 등 5개분야를 전산화, 궁극적으로 1개망으로 통합한다는 장기계획을 수립했으며, 현재 행정망 금융망 등이 활발하게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현재 세계에는 구경 8~10m의 천체망원경이 15기나 있어서 보현산천문대의 천체망원경은
작은
편에 속하지만 지난 2월에도 새로운 변광성을 발견해 미국 천체물리학 저널에 게재하는 등 그 역할은 톡톡히 해내고 있다.지금 사용하고 있는 천체망원경이 우리나라 지폐에 등장한 것은 처음이라 고민도 ... ...
나노 분자 헤쳐 모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해도 예상치 못한 변수 때문에 실패하기 일쑤다. 더구나 경험이 부족하면 바이러스만큼
작은
크기로 만들어지는 실험 결과물을 찾아내기도 어렵다.이렇게 불확실한 연구과정을 어떻게 견디냐고 묻자 김 교수는 “불안에 익숙해야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다”며 살짝 웃는다. 그는 “실패하면 적어도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그는 ‘형태 공명’(morphic resonance)이라는 이론을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분자라는 아주
작은
조직에서 거대한 사회 조직까지 세상의 모든 시스템은 ‘형태발생 장’(morphogenetic fields)에 의해 조직된다. ‘형태발생 장’은 반복적인 습관에 따라 스스로 조직을 만들어간다. 예를 들어 생명체는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이렇게 오르락내리락 한답니다.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산에 가시는 분들은
작은
불씨라도 주의를 기울여 주시고요. 따뜻한 봄볕이지만 자외선 지수가 높습니다. 외출하실 때 자외선차단제 꼭 잊지 마세요.”뉴스가 끝나도 사람들은 채널을 돌리지 않아요. 바로 일기예보를 보기 위해 ... ...
잠자리도 철새처럼 이동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나왔다.미국 프린스턴대 마틴 위켈스키 교수팀은 푸른무늬왕잠자리 14마리의 날개에
작은
전파송신기를 부착해 전파를 추적한 결과 잠자리도 철새처럼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결과는 영국왕립학회의 ‘바이올로지 레터스’ 5월 11일자에 발표됐다.연구팀은 잠자리와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내려갔다. 러시아 국경수비대를 한참 지나 러시아와 북한의 해양경계선에 도착한 뒤
작은
보트로 갈아타고 바닷물과 강물이 교차하는 두만강 최남단 하구를 탐사했다.두만강에는 고운 모래사장이 펼쳐져 있고, 수질이 맑았다. 하지만 강폭이 좁아 인간에게 위압감을 주거나 지형적으로 국가의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만약 일본열도 한가운데에 한국이 오랫동안 지배해왔고, 한국인이 현재 살고 있는
작은
산이 있다면 그 산은 분명히 한국 땅인 것이다. 울릉도와 독도는 울릉분지에서 화산활동으로 생긴 한국의 화산섬일 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바닷속 우리 땅을 찾아서 1. 한반도 주변 속살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비교적 치열은 가지런하나 입이 많이 튀어나와 보이는 경우에 많이 사용하는데 보통
작은
어금니를 뽑고 외과적 수술로 치아 근처의 뼈를 약간 절단한 다음 교정치료로 치아 전체를 잇몸 뼈와 함께 빠르게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급속교정은 수술 이후 교정치료로 치아 전체를 빠르게 움직이므로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