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탐구력 갖춘 과학인재 양성의 샛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흥분이 기억난다”고 말했다. KAIST에 진학할 예정인 2학년 이해나 양도 “실험기자재를
눈
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본 덕분에 여러 대회에서 상도 탔고 과학 공부에 더욱 흥미를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R&E프로그램은 과학고생이라면 거쳐야 할 필수관문이다. 경기북과학고도 예외는 아니다. 최 군과 이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보낸 논문은 짧고 거친 글이어서 린네학회에서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눈
길을 끌지 못했다. 이 점은 함께 발표된 다윈의 초록도 마찬가지였다. ‘종의 기원’과는 그 무게와 호소력에 있어 비교가 되지 않았다. 다윈은 월리스가 자신과 똑같이 ‘자연선택’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는 점에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생계를 위해 열기구 관광 업체를 운영하다 ‘하늘에서 본 지구’의 아름다움에
눈
떴다. 1995년 시작한 대장정은 1999년 ‘하늘에서 본 지구’라는 책으로 결실을 맺었다. 30개 언어로 번역돼 350만 부가 판매되는 기록을 세우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2004년 시작한 ‘하늘에서 본 한국’ 프로젝트로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약자로 단일염기다형성으로 불린다. 인간은 DNA가 99.9% 같고 나머지 0.1%가 달라
눈
색깔과 피부색이 다르다. 사람들 간의 이런 차이를 SNP, 즉 단일염기다형성이라 부른다. 만약 유전자의 특정 위치에 대부분의 사람에게 나타나는 시토신(C)이라는 염기 대신(1) 티민(T)이 나타난다면(2) 그 위치에 SNP가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결국 원이 된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라.힘_스노타이어 vs. 제트엔진아무리 고급 승용차라도
눈
길이나 얼음판 위에서는 뾰족한 수가 없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얼음판의 요정’ 김연아 선수도 스케이트를 벗으면 얼음판 위에서 살살 걸을 수밖에 없다. 이는 마찰 때문이다.자동차를 움직이는 힘은 ... ...
케이크에 미친 네 남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고 알려졌다.달콤한 케이크와 ‘꽃미남’ 4인방이 관객의
눈
을 즐겁게 하는 영화 ‘앤티크’.하지만 성적주체성 장애를 앓는 천재 파티셰와 망막박리로 권투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전직 복서, 여자 앞에만 서면 공포심을 느끼는 몸짱 보디가드와 케이크만 먹으면 토하는 ... ...
휴대전화 가볍게 만드는 스마트케이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많이 쓰이는 T-20핀(스마트폰 용) 제품도 출시할 예정이다.과충전, 과전류 방지회로도
눈
에 띈다. 국내 휴대전화가 사용하는 정격전압은 4.2V로 외국의 5V보다 낮다. 스마트케이블은 4.2V 이상의 전류가 휴대전화에 흐르는 일을 막아 과열될 위험이 없다. 스마트케이블은 액세서리로도 손색이 없다.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람은 마르크스가 아니라 그의 사위인 아벨링이었다. 아벨링은 자연현상을 비종교적인
눈
으로 다루는 다윈으로부터 많은 통찰을 구하면서 그의 정치철학을 개진했다. 하지만 다윈은 무신론자로 알려진 아벨링과의 접촉을 피하려 했고, 그의 제의도 고사했다. 사실 마르크스 자신도 다윈의 책에서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샤이너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갈릴레이가 태양 흑점을 직접 관찰해 말년에
눈
이 멀었다는 얘기가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그는 흑점을 일몰이나 일출 때만 직접 관찰했고 종이에 투영해 스케치했다는 내용이 담긴 편지가 남아 있다.갈릴레이는 새로운 행성을 발견할 기회도 있었다. 1612년 1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
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대기에 가로막혀 볼 수 없는 빛을 볼 수 있다는 것도 우주의 큰 장점이에요. 지구 대기는
눈
에 보이는 가시광선과 전파 영역의 일부를 뺀 적외선, 자외선, 엑스선, 감마선 등을 거의 모두 가로막아요. 따라서 이런 파장의 빛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망원경을 우주로 보내야 해요.이런 이유 때문에 다양한 ... ...
이전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