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준비돼있다. 열대해양탐사를 통해 환경과 생물자원의 소중함을 배워 보자!대상 중·고등·
대학
생 | 선발 인원 2명 | 후원 한국해양연구원3 뉴칼레도니아에서 해양 체험을?!‘뉴칼레도니아’ 하면 드라마 에 나온 하트 섬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뉴칼레도니아는 태평양에서 세 번째로 큰 ... ...
화마 잡는 골목대장, 골목소방차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뒤에 같은 노즐로 이산화탄소를 넣는 기술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소방재난본부는 여러
대학
교수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2011년 11월, 연구팀은 벽을 뚫는 장치와 이산화탄소 소화 시스템을 결합하는데 성공했다. 총처럼 생긴 ‘관통관창’에는 두 개의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일제 강점기 동안 억눌려 왔던 배우고 가르치고자 하는 열망이 광복 이후 15년 뒤에야
대학
수준에서 이뤄진 것이다. 마지막으로 2002년 한국물리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윤세원 박사가 후배들에게 당부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앞으로 우리나라 물리학의 수준으로 본다면 내 생각에는 머지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나면 수학의 명료함 덕분에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는 것. 그런데 해당 과학을 전공하는
대학
생들도 외우기 싫어하고 풀기 싫어하는 것들을 공부하려는 일반 대중이 과연 있을까.마라톤의 매력은 바로 힘들다는 것“마라톤을 하면 몇 만 명의 사람들이 뜁니다. 마라톤이 만약에 쉬우면 그렇게 많은 ... ...
나쁜 공기가 기억력 떨어뜨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인지능력은 무언가를 기억하고 판단하는 능력이죠. 미국 러시의과
대학
교 제니퍼 웨베 박사팀은 70세에서 81세까지 할머니 1만 9409명을 1995년부터 14년 동안 조사했어요.먼저 할머니들이 사는 지역의 공기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먼지농도 자료를 미국환경보호청에서 받았죠. ... ...
한국호랑이와 시베리아호랑이는 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발견할 수 없게 사라졌어요.그런데 시베리아호랑이랑 정말 형제니?서울
대학
교 수의과
대학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이항 교수팀이 한국호랑이(또는 백두산호랑이)랑 시베리아호랑이(또는 아무르호랑이)가 한 형제라는 걸 밝혔어요. 연구진은 한국호랑이 뼈 조각에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뽑아 ... ...
나는 과학고로
대학
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2012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서울과학고(과학영재학교)는 93명이 서울대 특기자 전형에 무더기로 합격했다는 소식이 알려져 화제가 됐다. 사실 전국에서 영재라고 불리던 ... 과학영재교나 과학고에 진학했다가는 수업을 듣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는
대학
입시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글 실력은 좋은 논문을 만드는 기초가 된다.“글쓰기나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대학
에서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어렸을 때부터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자연계 학생들도 글쓰기, 책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성 교수는 10년 뒤에는 연료전지 기술이 가파르게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노하우가 많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GTI를 반드시 성공모델로 만들어 우리나라 전
대학
에 확산시키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매년 10~20개의 실용화 사업 발굴GTI는 매년 10~20개 가량의 실용화 과제를 수행한다. 이들 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기업이 원천기술을 가져가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노기술은 어느 한 전공이 독점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여러 학문의 융합이 필요한 완전히 새로운 연구분야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 ... 아니다. 그러나 연구하는 데 필요한 체계적 사고와 기초지식은 지금도 큰 도움이 된다.
대학
원 시절이 소중한 순간이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 ...
이전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