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디터 에글리 박사팀이 남아 있는 소량의 미토콘드리아도 위험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Cell Stem Cell 18, 749-754, June 2, 2016). 처음 치환 당시 모계에서 온 미토콘드리아 비율은 평균 0.2%로 아주 적었다. 30여 세대 뒤 대부분의 세포는 모계 미토콘드리아 비율이 낮아져 정상적으로 잘 자랐지만, 한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농약이 있다. 오랫동안 파라콰트를 사용한 농부들이 파킨슨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결과가 보고됐고, 한국에서는 2012년부터 판매가 금지됐다. 파라콰트도 복합체 I에 문제를 일으킨다. 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약 90% 정도가 이런 환경적 영향으로 병이 시작된다(Neurology, vol. 52, no. 9, pp. 1876-1882, 1999)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산사태가 자주 발행하는 지질 종류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기존 산사태 사고를 분석한 결과 편마암과 화강암, 점토암(이암)으로 이뤄진 지역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지질 종류별로 관측 데이터를 축적하고, 실험실에서 토양별로 인공강우를 뿌려 어떤 조건에서 산사태가 나는지를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09년 2월부터 10월까지 내린 9번의 강우와 5번의 폭설 샘플을 얻었다. 14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박테리아 67종을 찾아냈는데, 이들 중 대다수는 얼음이 어는 데 도움을 주는 단백질(INA, Ice Nucleation Active protein) 유전자를 가진 슈도모나스 속의 박테리아였다.INA는 그람음성균, 예컨대 슈도모나스 속,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얻은 비가공 정보를 해양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효율을 측정한 결과, 전처리 기술 적용 전·후로 시간당 변환량이 무려 35.7배나 많아졌다.효율증가는 연구주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손 선임연구원은 “예전에는 데이터를 다루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 논문 한 편에 2~3년치 적조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교수는 지난 2004년 초코볼이 타원형일 때 구형보다 더 공간을 많이 채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초콜릿을 좋아해서 항상 둥근 유리 그릇에 M&M을 담아 먹었던 폴 채이킨 교수는 타원형의 M&M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답니다.연구팀이 M&M이 가득 들어 있는 그릇을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 ...
- [수학뉴스] 수학 질문은 왼손잡이에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전문가들의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간 연구 결과입니다.한편 살라 교수팀은 이 연구 결과를 지난 4월 영국 노팅엄에서 열린 ‘2016영국심리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것이다.분석 결과, 연구팀은 꼬리뼈에 부착한 센서가 발에 센서를 부착할 때와 비슷한 결과를 낸다는 것을 알아냈다. 꼬리뼈에 센서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무게중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실제와 더 비슷한 상황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알파인 스키 ★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태양으로부터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왜행성인 에리스를 발견해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도록 이끈 사람이기도 하다.연구팀은 망원경으로도 보기 힘들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가 ... ...
이전5405415425435445455465475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