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73건 검색되었습니다.
폭염 막아주는 반투명 태양전지 나왔다
2016.08.01
유승협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KAIST 제공 35도에 육박하는 무더운 날씨. 강한 햇빛을 막기 위해 유리창에 틴팅(선팅) 시공을 하는 일이 많다. 틴팅용 필름처럼 열을 차 ...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스’ 7월 20일자 표지
논문
으로 실렸다. ... ...
국제학술지 표지
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는 “최근 수년 새 학술지 겉표지에만 4편 이상
논문
을 실었다”면서 “내 연구가 학계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걸 어필할 수 있어서 주위에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너무 표지를 의식하는 건 좋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박 ... ...
세균 싹~ 잡는다던 트리클로산, 왜 치약에서 사라졌을까
2016.07.31
교수는 트리클로산이 학계의 관심을 끌자 이를 종합한 리뷰
논문
을 사이언스 7월 22일자
논문
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위 교수는 “물고기는 트리클로산을 먹이로 섭취하지만 사람은 바로 씻어내기 때문에 영향이 없는 것”이라며 “특히 사람의 미생물은 트리클로산에 어느 정도 적응했기 때문에 큰 ... ...
사람 줄기세포로 ‘기능성 인공 중뇌’ 만들었다
2016.07.29
작동원리를 규명할 수 있는 데 최적화된 기능성 중뇌를 만든 건 처음이다. 연구진은
논문
을 통해 “실험실에서 파킨슨병 등 사람의 중뇌와 관련된 질병을 훨씬 손쉽게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중뇌(Midbrain)는 뇌의 한 가운데 위치해 있고, 우리 몸의 운동을 조절하는 부위다. - ... ...
“한국 의사들 로봇수술 실력에 감명받아”
2016.07.28
발표한
논문
은 76편에 이른다. 200대가 넘는 장비를 보유한 일본은 같은 기간 나온
논문
이 50편에 불과하다. 한국은 세계 최초로 로봇수술 표준수술법을 개발한 경험도 다수다. 2009년 최규석 칠곡경북대병원 교수가 개발한 대장항문 수술법이나 2010년 정웅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교수가 개발한 ... ...
사람 얼굴 구별해 알아보는 비둘기
2016.07.28
그들에게 적대적이었던 연구원을 알아보고 계속해서 피해 다녔습니다. Mr SG(W) 제공 이
논문
의 공동저자인 보베트 박사는 “실험에 참여한 연구원 두 명은 같은 연령대에 비슷한 체형 및 살색을 가진 여성이었는데, 비둘기들이 얼굴을 구별했다는 점이 놀라웠다”고 말하며 “더욱 흥미로운 점은 ... ...
빛의 색깔 자유자재로 바꾸는 방법, 사탕에서 찾았다
2016.07.25
사탕에 기계적인 힘을 가할 때 빛이 발생하는 모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진은 사탕이 부서질 때 나타나는 빛 발생 현상 응용해 빛의 색 조절 기술을 개발했 ... 밝혔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19일자 표지
논문
으로 게재됐다.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꿀을 좋아하는 곰을 파트너로 삼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논문
을 보면 사람과 공동작업을 하는 또 다른 야생동물의 예로 돌고래를 들고 있다. 즉 1세기 로마시대의 군인이자 자연학자였던 플리니우스의 저서 ‘박물학(자연학)’에 어부들이 돌고래를 불러 함께 물고기를 ... ...
우주팽창, 예상보다 빠르네
과학동아
l
2016.07.24
것은 우주의 나이가 138억 년보다 어릴 수도 있다는 뜻도 된다. 연구결과는 6월 9일
논문
수집 웹사이트 ‘아카이브’에 처음 공개됐고 학술지 ‘천체물리학’에 게재될 예정이다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6.07.23
상관없이 상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정도가 심할수록 만족도가 떨어졌습니다.
논문
에는 TV 같은 미디어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도 나와 있었습니다. 미디어에 많이 노출될수록 상대객관화가 심해졌지만, 반대로 자기객관화는 높아지지 않았습니다. 미디어를 많이 접할수록 상대방에 대해서만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